농업계와 식품기업간의 ‘상생’바람이 솔솔 불고 있다.
2011년 현재 국내 농산물 공급액 50조 9000억원 중 식품과 외식분야가 약 62.3%나 차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이들 기업과의 상생협력은 양측 모두에게 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공급자인 농업계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이들 기업과의 연중 계약재배를 통해 널뛰기 하는 농축산물 가격을 일정정도 안정화시킬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을 낳고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수입농축산물에 빼앗겼던 시장도 조금씩 되찾아올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하게 되는 것이다.
수요자인 기업입장에서도 최근 소비 트렌드가 안전하게 생산된 국내 농산물에 대한 니즈(needs)가 늘어나고 있는 데다 과거와 달리 중국 농산물의 가격 경쟁력이 높지 않아지면서 국내산의 이점이 생긴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SPC, 농심, 매일유업 등과 산지 조직을 연계하는 ‘농업과 식품기업간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13건 체결한데 이어 지난해 9월 대한상의와 농식품부, 농협,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직원들로 구성된 ‘농식품 상생협력 추진본부’를 두는 등 상생협력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
상생협력의 유형도 다양하다. 1사1촌 등의 형태로 기업들이 사회기여를 목적으로 지역농업이나 농촌과 협력하거나, CJ, SPC등과 같이 기업이 필요한 원료를 구매하는 유형, 국순당이나 매일유업과 같이 아예 농업계와 기업이 공동 출자 회사를 차리는 경우, 기업의 해외 판매망 등을 공유해 수출하는 유형 등 새로운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이같은 상생협력 바람을 이어가기 위해 기존에 체결한 협약의 후속조치와 성과 확산에 나서는 한편 유통과 온라인, 홈쇼핑 등 다양한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상생협력은 농업과 식품기업 모두 윈-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농축수산물의 또 하나의 유통채널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 발전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양파나 마늘, 무, 배추, 쌀 등을 안정적으로 기업에서 구매해 주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반복적으로 시장을 뒤흔들어 놓고 있는 가격 파동의 굴레를 벗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상생협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들이 있다. 상생협력을 체결하거나 산지와 거래를 하고 싶은 기업들이 이구동성으로 요구하는 것. 바로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산지 조직화다. 또 기업과의 약속을 반드시 지켜주는 것이다. 더 이상 시세가 높다고 계약을 파기하고 시장으로 출하하지 않아야 한다.
1990년대 후반 국내에 대형유통업체가 진출하기 시작하고 대형유통업체 바이어들이 산지 직거래를 본격화하면서 산지에 주문했던 것이 바로 산지 조직화였다. 많은 우여곡절을 거치면서 대형유통업체와의 산지 직거래 시스템은 어느 정도 안정궤도에 들어서 있다. 대형유통업체와 거래 시스템을 구축해 온 것처럼 식품기업간의 구매채널도 그렇게 구축되길 바란다. 그 해답은 산지에 있다.

최상희 부국장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