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절감·금융부담 완화…소득제고 역점
-고부가 ''선진국형 농촌구조 확립''

농어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끊임없는 애정으로 농어업 보호와 발전을 이끌고 있는 홍문표 의원((새누리, 홍성·예산). FTA(자유무역협정), 내부침체 등 대내외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한 농촌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그의 구상은 무엇인지, 농정 현안에 대한 생각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농어촌과 농어민이 잘 살아야만 대한민국은 선진국이 된다”는 홍 의원의 첫마디부터 농업·농촌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관심을 느낄 수 있었다.

앞서 홍 의원은 제17대 국회의원으로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한나라당 간사를 맡으며 ‘면세유법 5년 연장’, ‘농기계 임대법(일부)’ 등의 법안을 마련, 농촌 문제 해결에 앞장섰다. 이후 18대 총선에서는 낙선했지만 2008년부터 3년간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을 역임하며 농어촌 전문가로서의 면모를 닦았다. 현재 국회 예결위원장이자 19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하 농해수위) 위원으로 활동하며 농업계의 역량강화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홍 의원은 국회예결위원장이자 농해수위 위원으로서 가장 역점을 둔 분야로 ‘농업·농민 소득 제고’를 꼽았다. 그는 “정부와 국회가 농산물 생산비용을 절감시키고 농산물이 제값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면 농업인이 손해나는 농사를 짓지 않게 될 것”이라며 “농기계 임대사업 전면실시로 농업 비용이 절감됐고 올해 농업정책자금 금리 인하로 농업인의 금융부담이 완화됐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농해수위에서 해결해야할 시급한 문제로 ‘식품’을 꼽았다. 그는 박근혜 정부 초기 조직 개편 과정에서 농림축산부 명칭에 ‘식품’이 빠진 부문에 이의를 제기해 ‘농림축산식품부’로 명칭을 관철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바 있다. 그는 농업이 1차 산업에만 머무르지 않고 3차, 4차 산업으로 육성·발전하기 위해서는 조직 명칭에 ‘식품’이 반드시 들어가야했다고 설명했다.

홍 의원은 “농촌·농민이 농산물 생산에만 머무르지 않고 농산물을 가공하고 식품을 만드는데까지 나아가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것이 선진국형 농촌구조다”라며 “농업에서 유통, 가공까지 한 부처에서 담당해야만 농축산업이 부가가치가 있을 것이라 보고 조직 명칭에 ‘식품’을 삽입한 것인데 아직 큰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어 아쉽다”라고 밝혔다.

그는 잇단 FTA 체결로 농업환경이 어려워져가고 있는 만큼 FTA무역이득공유제를 반드시 도입해야한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홍 의원은 무역이득공유제를 골자로 한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농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2012년 6월에 대표 발의한 바 있다.

그는 “17대 국회의원이던 당시 발의했던 면세유 연장법이 입법화될 수 있었던 것은 농협중앙회가 36만명의 서명을 국회에 제출해 전국 농업인의 응집된 추진력을 가시적으로 보여줬기 때문”이라며 “농민단체들은 농정에 반대·항의하는 집회·시위에만 적극적 행보를 보일 것이 아니라 농업·농촌의 위기를 타개시킬 수 있는 법안인 ‘무역이득공유제’가 계류하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서명운동에 적극 나서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홍 의원은 무역이득공유제 운영방안으로 기금조성방식을 제안했다. 10조원의 기금을 만들어 10년간 운영한다면 FTA에 대응한 기반조성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무역이득공유제는 FTA로 이익이 발생한 산업에서 손해가 발생한 농어업인을 도와줘야한다는 것으로 사회적기업 정신이자 동반성장 정신이다”며 “FTA로 흑자를 본 기업들이 5조원의 기금을 조성하고 정부가 3조원, 농협이 2조원을 내 총 10조원의 기금을 마련하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홍 의원은 산림관련 법안을 구상 중이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의 64%가 산림지역임에도 목재의 84%를 수입하고 있어서다. 그는 “토질, 우량, 수질 등을 조사·분석한 ‘맞춤형 산림지도’를 만들어 환경에 맞게 수종을 개량한 후 적지적소에 심어야한다”며 “산이라는 좋은 자원을 가지고도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나 근거가 마련되지 않은 것이 안타깝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