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산업은 생산이후 수확후관리기술의 도입을 통해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켜 왔다.
  국내 수확후관리기술은 1980년대 후반 무렵 도입, 농식품 수확이후의 감모율을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국민들에게 안전한 농식품을 공급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도입 20여년을 넘긴 수확후관리기술은 APC(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중심으로 점차 발전, 농업뿐만 아니라 농식품 유통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수확후관리 도입 이전에 2~3월까지가 저장한도였던 사과는 저장기간이 2배가량 연장돼 5~6월까지 고른 출하가 가능해지는가 하면 파프리카 등 일부 수출품목은 대일 수출위주에서 호주 등 수출국 다변화를 꾀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수출경비 저감에도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 농산물 상품성 문제로 고가의 항공운송을 통해 수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수확후관리기술을 통해 해상운송이 가능해졌다. 실제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농협중앙회가 공동으로 추진한 수확후관리기술 현장적용 상품화 프로젝트를 추진한 결과 1kg당 6850원의 운송비가 들던 싱가포르는 911원으로 낮아져 운송비를 86% 가량 절감하고 홍콩은 운송비가 1kg당 6850원에서 387원으로 낮아져 93%가 절감, 운송비 절감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수확후관리기술을 통해 농가에서는 수확철 집중출하를 피해 성수출하기 가격하락을 억제, 추가소득을 올리고 유통업체는 감모율이 저감, 농식품을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뿐만 아니라 농식품의 위생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가 하면 고른 가격으로 농산물을 분산 출하해 소비자들도 계절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고 적절한 가격에 안전한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영향으로 농촌진흥청에는 저장유통연구팀이 신설됐으며 최근에는 연구팀 소관 ‘아시아 수확후관리연구센터(APHRC)’를 개소, 수확 후 20∼50%에 달하는 개발도상국의 원예작물 손실을 15∼40%까지 줄이기 위해 연구 협력, 연구원의 장단기 훈련과 기술안내서 발간 등의 사업까지 진행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나라 농식품수확후관리 분야는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성장세가 한풀 꺾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관련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에는 아직까지 전담 부서를 두지 못하고 있고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갖는 농협 역시 산지유통 파트의 한쪽 모서리에 위치해 그 역할과 역량을 발휘하기에는 요원한 현실이다. 연구파트 역시 마찬가지, 대학 등 관련 학문파트에서도 수확후관리분야에 대한 연구인력이 달려, 이후 관련 연구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을까하는 우려까지 자아내고 있다.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추진동력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수확후관리기술 분야는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 이제 막 중진국 단계를 넘어 선진국대열에 입문하려고 하는 위치에 서 있다. 여기에서 한단계만 더 높게 디딜 수만 있다면 선진국 대열에 반열을 같이할 수 있다.
  지금 농식품수확후관리분야는 한단계 ‘STEP UP’ 하느냐 여기에서 주저앉고 마느냐 하는 기로에 서 있다.
  농식품수확후관리 분야 골든타임은 바로 지금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