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들어 농식품 수출산업화를 위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으며 지난 10월말 기준 농식품 수출액은 51억 달러를 넘어섰다. 비록 전년 동기대비 1.1% 감소한 모양새이지만 국가 전체 산업 수출액이 전년 동기대비 7.6% 감소한 것에 비하면 나름 효자노릇을 한 셈이다.
  농식품 수출이 그나마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여러 정책적인 지원중 농식품수확후관리기술에 대한 관심도의 표명이었다는 전언이 들린다.
  정부는 농식품 수출전략형 기술 개발을 위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감귤, 과채류, 배 등 신선식품 13개 품목별 농식품 수출연구사업단을 선정하고 총 사업비 615억원(정부출연금 450억원, 매칭펀드 165억원)을 투입, 사업을 추진했다. 수출연구사업단은 유망 농산물 품목의 수출전략형 기술개발을 위한 것으로 1년차와 2년차 중간평가를 통해 4개 사업단의 추진을 중단 조치하고 9개 사업단으로 최종 운영됐다.
  품목별 수출연구사업단은 생산과 유통, 수출 마케팅 등으로 구분해 운영됐지만 이중 핵심은 유통파트로 선별, 포장, 저장, 유통 등 수확후 관리에 무게가 집중, 운용됐다.
  농식품 수출, 특히 신선농산물의 경우 고품질의 제품을 선별하고 이를 포장해 장기간 유통할 수 있는 기술이 수출의 핵심이다. 수확후 관리기술을 통해 제품을 고품질화, 부가가치를 높이고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토록 해 고가의 항공운송이 아닌 저가의 선박운송을 가능케 함으로써 수출단가와 수출물량을 동시에 올릴 수 있었다는 점이다.
  수출연구사업단은 포장, 저장, 유통, 검역시스템 개선을 통해 저장성을 10% 향상시키고 폐기율 역시 10%나 감소시켰다고 결과치를 밝히고 있다. 또한 선별시스템을 통해 착색도와 선별 영상기술을 적용, 수출대상국이 요구하는 수준의 품질에 다가가고 내부품질 측정기술로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등의 성과를 올린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수출연구사업단이 만들어 놓은 소기의 성과에 대한 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오랜 기간 예산을 투입해 만들어놓은 수출 R&D 성과에 대한 후속관리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다. 수출사업단이 연구기관이 만료됨에 따라 올해부터는 과제별로 수출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R&D과제의 지속성이 떨어지고 지금까지의 성과와 앞으로의 연구결과에 대한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같은 부사 품종의 사과가 대만의 대형유통업체에서 판매될 때 일본산 제품 가격은 한국산의 1.5배 이상 높게 책정돼 팔리고 있다.
  또한 쌀의 경우도 타 수출국 쌀과의 경쟁력을 비교할 때 수입 제경비를 감안한 한국산 가격은 톤당 1803달러로 일본산 4615달러의 약 39%, 대만 2423달러의 74%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단순하다. 농산물 수확후관리기술의 고도화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생산하는 단계까지는 같지만 수확후 관리를 통해 고부가가치화하고 또한 수출시 고도의 저장기술 등을 통해 신선한 농산물을 안전하게 현지에 운송하는 기술력의 차이에 있는 것이다.
  아직까지 정부의 운송비 지원 등 정책적인 지원에 매달리고 있는 농식품 수출산업화의 정점은 농식품수확후관리기술 R&D확대와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수립에 있다는 점을 정부 당국이 인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