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안정 장치·소비층 확보대책 필요

  (상) 끝없이 치솟는 한우값…호황일까
  (하) 한우 수급조절 ‘발등에 불’

 

▲ 한우 번식기반의 지속적인 감소와 소비기반 축소에 따른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한우산업은 FTA(자유무역협정)로 인한 개방화, 높은 생산비, 번식기반 약화 등 각종 문젯거리를 떠안고 있다. 이같은 문제들이 한우 수급불안의 결과로 나타나 수년째 공급 과잉과 부족 현상의 반복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한우가격 역시 폭락과 폭등을 되풀이하고 있어 농가들은 안정적인 한우 생산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이르렀다.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한우산업에서 농가들의 불안감을 떨칠 수 있는 환경 제공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 소규모 번식농가 폐업에 송아지 공급기반 ‘흔들’
  한우산업의 바탕인 송아지 생산을 담당해 온 소규모 번식농가의 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번식은 물론 한우 사육기반 전체의 붕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우 20마리 미만 사육농가 수는 2010년 13만560가구에서 지난해 5만7800가구로 5년 만에 45% 수준으로 감소했다. 소규모 한우 사육농가가 감소는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와 2012년 한·미 FTA 발효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소규모 사육농가 대부분이 한우산업 송아지를 생산하는 번식농가라는 것이다. 잇따른 소규모 번식농가의 감소로 송아지 가격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농협 축산정보센터에 따르면 한우 수송아지와 암송아지(6~7월령) 5월 평균 산지가격은 각각 마리당 386만6000원, 316만7000원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각각 40%, 43%가 증가했다. 
  이에 한우산업에서는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번식기반 확대 요구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4년 전 한우값 폭락을 겪었던 농가에서는 송아지 및 사육마릿수의 규모 확대에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당장 사육마릿수를 늘린다고 하더라도 출하 시 현재의 가격 호조가 계속될지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강원도 홍천의 한 비육농가는 “한우값 강세에 최근 송아지가격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어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며 “높아진 생산비에 한우 번식농가들은 큰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우려했다.
  이와 관련 황명철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장은 “더 이상의 한우 공급기반 약화는 가격 불안 및 자급률 하락을 초래해 한우 공급 기반 강화를 위해 최소한 경영비 이상의 농가경영안정 장치마련이 시급한 과제”라며 한우농가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의 목소리를 높였다.

  # 한우 소비기반 유지가 관건
  한우가격 강세와 수입육 증가는 결국 자급률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한우 소비기반의 붕괴는 한우산업이 뿌리채 흔들릴 수 있는 만큼 무엇보다 대대적인 소비기반의 유지 및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가운데 최근 열린 한우수급조절협의회에서는 소비저항에 따른 소비기반 위축을 우려하며 단기적·중장기적 대책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김홍길 전국한우협회장은 “현재 마트에서 한우는 100g당 3000~6000원까지 다양한 가격으로 팔리고 있으며, 이는 3000원으로도 이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이라며 “단기적인 소비기반 확보를 위해 소비자들이 가격하락을 체감할 수 있는 합리적 기준으로 한우가격 하한선을 정해 이에 의견을 같이하는 업체를 모집, 판매장려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강조하고 향후 농림축산식품부와의 추진 계획을 밝혔다.
  정규성 축산유통연구소장도 “지금 가장 시급한 소비자 이탈을 막기 위해 유통업체들에게 할인판매에 대한 손실액을 지원해주고 직거래 및 할인행사를 실시토록 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더불어 한우가격 강세와 FTA 관세 감축으로 인해 수입육 취급 업체들의 적극적인 마케팅 공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우협회 관계자는 “적정 사육마릿수 유지 통해 한우가격 안정을 도모한다면 향후 수입 쇠고기에 대한 저항력도 기를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중장기적인 대안을 마련해 한우농가들이 심리적인 안정을 유지, 소비층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