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2015년 농가경제조사’를 통해 지난해 농가소득이 전년대비 6.5% 상승한 3721만원이란 분석을 내놨다. 2008년 3050만원이던 농가소득이 2013년 3452만원, 2014년 3495만원, 2015년 3721만원 등으로 증가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고, 이 같은 수치를 고려해 볼 때 농가경제가 회복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욱 반가운 소식은 농업소득 증가가 농가소득을 견인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농업소득은 전년대비 9.3% 증가한 1126만원으로 나타나 농가소득 평균 상승률을 앞질렀다. 농업소득은 2008년 966만원, 2013년 1031만원, 2014년 1030만원 등으로 최근 몇 년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으나 지난해 회복된 것이다. 농가소득 가운데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2003년에는 40%에 육박했으나 2008년 31.6%, 2012년 29.4% 등으로 가파르게 감소하다가 최근 2~3년 사이 점차 회복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농산물로 벌어들이는 소득 감소폭이 줄어든 반면 축산물 수입이 크게 증가된데다 농업경영비는 소폭 상승한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농가소득 상승으로 도농간 소득격차가 다소 완화되는 효과까지 보인 것도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003년 도시근로자 소득의 76.4%에 달했던 농가소득이 2012년 57.6%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점차 회복세를 보여 64.4%까지 늘어난 것이다.
  이 같은 수치로만 보면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농가소득 상승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이 가운데 농업소득의 증가율이 농가소득을 이끌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농간 소득격차도 줄어들고 있어 희망을 갖게 해 주는 수치이다.
  그러나 농가들이 이 같은 수치를 피부로 느낄 수 있는가 하는 점은 또 다른 문제이다. 실제 농가소득 증가의 주된 요인은 규모화된 전업농가의 소득 상승, 정부의 공적보조지원으로 인한 이전소득 증가, 소규모 고령농가의 농가소득 보전대책 등이기 때문이다.
  특히 농가소득을 견인한 전업농가의 비중은 전체농가의 14%로 추정되는 만큼 정부의 지원이 없어질 경우 대부분의 농가소득은 장밋빛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업농가의 소득증가도 금리 및 유가하락에 기인한 측면이 많아 이 역시 불안하긴 마찬가지이다.
  영세고령농가에게는 복지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6차산업과 연관이 높은 겸업 및 다양한 농촌일자리를 통한 근로수입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지속 개발하고, 농외소득이 경기에 의존되지 않도록 보완해 안정적인 소득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