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소득 보장 대책마련 '최우선'
FTA후속대책·상생기금 관련 법안 등 신속 해결

여권의 텃밭인 부산에서 지역구민의 선택을 받고 8년 만에 국회로 입성한 김영춘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 부산 진구갑). 김 위원장은 농해수위 위원장으로서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 확보와 농축산업의 위기 극복, 식량안보를 지키는 일에 각오를 다지고 있다. 특히 20대 농해수위에서 세월호 특별법, FTA(자유무역협정)후속 대책, 농산물 가격 안정 대책, 농협법 개정안 처리 등의 과제를 신속하게 풀어나갈 계획이다. 본지는 지난달 30일 김 위원장으로부터 농해수위원장으로서의 각오와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다음은 김 위원장과 일문일답.

-농해수위원장으로서 앞으로의 각오와 소감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에 임명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 농해수위는 국가의 기본이자 민생의 필수 요소인 국민의 먹거리를 관장하는 막중한 책임을 지고 있다. 그러므로 국민의 건강을 위해 안전한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일과 농어업인들과 함께 농축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식량안보를 지키는 일에 맡은 바 소임을 다 하겠다."

-농해수위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현안은 무엇이라고 보나.

"농어촌상생기금을 비롯해 FTA(자유무역협정) 후속 대책, 농산물 가격 안정 대책, 농협법 개정안 등 산적해 있는 과제를 신속하게 풀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농가소득 보장으로써 이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 또한 동남권 경제 전망이 매우 어두운 상황에서 조선·해운 위기뿐 아니라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까지 위기가 올 수 있다. 이를 대비해 지역경제 구조와 체질을 전환하는 작업에 힘을 모으겠다. 마지막으로 막 시작된 세월호 인양 작업을 안전하게 마무리하고 유가족과 국민의 편에 서서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규명하는데 앞장서겠다."

-농업에 대한 정부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것을 꼽는다면.

"국가폭력으로 인해 백남기 농업인이 쓰러진지 약 200일이 넘었다. 국가의 식량주권과 국가기간산업인 농업에 종사하는 소중한 농업인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사회적 약자다. 오늘날의 농촌은 아무리 열심히 농사를 지어도 먹고 살기 어려운 상황이다. 생존권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아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정부가 나서야 할 차례다. 정부의 능동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농촌이라는 열악한 환경 속에 소외돼 있는 소극적 객체가 아니라 사회 속 당당한 주체로서의 목소리가 필요하다. 적극적인 외침을 통해 농업인들에 대한 인식 전환을 꾀하고 사회의 당당한 주체임을 내보임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농해수위원장인 제가 적극적으로 돕겠다."

-19대 국회 농해수위 하반기는 세월호를 둘러싼 여야의 갈등으로 파행되면서 식물상임위라는 오명을 썼는데, 20대 국회도 세월호 진상조사로 인한 충돌이 예상된다.

"세월호 참사가 문제의 본질을 떠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파국을 맞는 현실이 참혹하다. 해양수산부를 소관기관으로 두고 있는 농해수위에서 시급한 현안 중에 하나는 ‘세월호특별법’이다. 이를 통해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는 것에 만전을 기울이겠다. 막 시작된 세월호 인양작업을 안전하게 마무리하고 조사위원회가 선체를 면밀히 조사할 수 있도록 돕겠다. 정부와 권력 일각에서는 진실규명을 두려워할 수도 있겠지만, 유가족과 국민의 편에 서겠다. 19대 식물상임위의 오명을 벗고 보다 새로운 각오로 다시 태어나는 농해수위가 되겠다."

-농어촌상생기금에 대한 입장과 기금을 둘러싼 견해차를 어떻게 조율해 나갈 생각인지.

"도·농간 상생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농어촌상생기금 법률안이 19대 국회서 폐기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까운 마음이다. 시대적 화두인 상생의 정신을 필두로 농업계를 반드시 살리겠다는 각오로 농어촌상생기금 관련 법률을 여야와의 긴밀한 조율을 통해 해법을 찾아 조속히 통과시키겠다. 또한 산업계와의 지속적인 협의와 국민의 공감대 확산을 통해 기금 조성에 대해 불편함이 없도록 노력하겠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