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부터 경북 칠곡을 시작으로 ‘2016 쌀산업 선도경영체 교육’이 ‘쌀 의무자조금, 이제부터 시작이다’를 주제로 닻을 올렸다.
  쌀 의무자조금 교육은 지난해 전국 8도를 대상으로 교육이 한차례 이뤄졌고 쌀 의무자조금 연구용역 결과도 나왔다. 쌀 산업 관련 단체들은 쌀 의무자조금 도입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쌀 의무자조금 제도의 운영조직, 거출방법, 거출액수 등에 대한 합치를 좀처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쌀 소비감소는 사실상 거스를 수 없는 추세라는데 이견이 없다. 또한 소비자들의 한정된 음식물 섭취량에 있어 쌀이 차지하는 파이를 늘려가기 위해 타 품목과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우, 한돈, 우유 등 타 품목들은 의무자조금을 도입해 생산자 주도로 소비촉진활동을 활발히 벌여 나가고 있으며 의무자조금을 도입하는 품목도 해마다 그 수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쌀 산업이 현재처럼 정부 정책에만 기댄다면 타 품목의 활발한 자구적 활동에 밀려 뒤처질 수 있다. 쌀이 농업 분야 중 재정적인 투입이 제일 많이 이뤄지는 품목임에도 가장 큰 위기를 겪고 있다는 박성재 순천대 교수의 지적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쌀 산업의 주체는 두말할 것이 없이 쌀 생산자다. 쌀 생산자는 이제 쌀 소비촉진활동 등에 객체로 머무를 것이 아니라 쌀 의무자조금 도입을 통해 주체로 나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침체일로를 겪고 있는 쌀 산업의 활로를 생산자들이 스스로 모색해 체질개선에 나선다면 쌀 산업이 경쟁력이 확보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쌀 생산자의 도입 의지다. 이번 기회를 통해 의무자조금 제도에 대한 중지를 모아 쌀 의무자조금이 실현될 수 있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