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쌀값의 약세가 지속되면서 지난 15일 기준 산지쌀값의 역계절진폭이 7%에 근접하고 있다. 지난달 초 6%대를 기록한지 불과 한달만에 1%가 또 빠진 것이다.
  정부의 추가격리 공매 시행 이후 4월초 반짝 오름세를 보였으나 이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산지 정곡 80kg기준 5월 15일 14만3956원하던 게 6월 15일 14만3332원, 7월 15일 14만2856원으로 떨어졌고, 이달 15일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인 16만76원에 비해 무려 11.5% 낮은 14만1684원에 거래되고 있다.
  산지 쌀값의 이 같은 현상은 올 수확기 산지 수매를 앞두고 재고량이 많은 RPC(미곡종합처리장)들의 밀어내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쌀이 남아돌기 때문으로 보는 게 설득력이 있다. 3년 연속 풍년으로 인해 쌀 재고량은 적정 재고량인 80만톤에 비해 두 배가 넘는 175만톤에 이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장가격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올 수확기 생산되는 쌀을 수매하기 위해 창고를 비워야 하는 RPC들은 손해를 보면서 지난해 산 쌀을 처리할 수 밖에 없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6만3000원에 수매한 쌀을 4만원대에 시장에 풀고 있어 40kg당 1만5000원 가량의 손해를 보는 실정이다. RPC들의 적자를 쉽게 예상할 수 있다. 평년작 이상이 생산된 2014년의 경우 RPC조합들의 적자가 무려 600억원에 달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700~800억원에 육박했고, 올해 역시 대풍이 예상돼 적자폭이 이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산지 RPC조합들의 적자폭이 커지자 수매가를 시중가에 연동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데 이어 강원도 RPC조합들이 최근 자구책 차원에서 쌀 수매가 사후정산제를 결의하기에 이른 배경이다. 지난해 수매가인 40kg기준 6만2800원의 80% 수준을 우선 지급하고 나중에 시중가를 반영해 정산하겠다는 게 그것이다.
  강원도의 경우 매해 첫 수매가를 결정하는 만큼 전국 쌀값의 기준이 될 수 있어 쌀값하락에 따른 농민들의 우려가 클 수밖에 없다는 점도 분명하지만 RPC조합들의 고충도 이해가 가는 부분이다. 더욱이 RPC조합들의 적자가 지속될 경우 해당 RPC조합들의 경영악화로 이어지고, 그 피해는 농민들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는 RPC조합들의 적자를 두고 볼 수도 없는 노릇이다.
  쌀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도 시급한 문제지만 당장 남아도는 쌀을 처리하는 일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대북지원이든, 해외원조든 특단의 방안을 통해 재고를 처리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