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수출·유통' 주력
2028년까지 공적자금 전액상환
경제사업활성화 위한 정부 추가 예산지원 필요

수협은행이 자회사로 독립, 수협중앙회가 변환점을 맞이했다.

수협중앙회는 지난 1일 ‘새로운 100년을 여는 新수협 출범기념식’을 갖고 사업구조개편에 따른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발표한 내용을 중심으로 사업구조개편 이후 달라지는 수협중앙회의 비전을 살펴본다.

# 경제사업, 2021년 1조5000억원 매출 목표

경제사업부문은 현재 9000억원 수준인 경제사업 매출액을 2021년까지 1조5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로 수산물 수출·유통 중심조직으로 발전시켜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산물산지거점유통센터(FPC)를 20개소, 위생·식품안전 기능에 관광기능을 접목한

품질위생관광형 위판장 50개소, 권역별 소비지분산물류센터 5개소를 건립, 전국단위 계통판매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2.5% 수준인 수산물 도매유통 점유율을 5%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더불어 수협중앙회와 일선 수협에 판매·마케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수산물 직매장 등 온·오프라인 판매망을 총 46개소로 확충하고 타 협동조합 등과 공동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또 수산물 식품안전성제고를 위한 수산식품개발연구원을 설립하는 동시에 수산물 수출확대를 위해 미국, 일본, 베트남 등 해외 주요 거점에 수출지원센터를 개설한다는 계획이다.
  

# 수협은행, 2028년까지 공적자금 전액 상환 목표

이날 출범식에서 새로운 시작을 알린 수협은행은 2028년까지 공적자금을 전액 상환하는 것을 목표로 수익성 제고에 나서게 된다.

수협은행은 기존에 투입된 공적자금 1조1581억원을 수협중앙회 신용사업특별회계를 거쳐 출자금으로 전환하고 추가로 9000억원의 자본금을 투입했다.

이에 따라 바젤Ⅲ금융규제인 자기자본비율 8%, 보통주 자본비율 4.5%, 기본자본비율 6%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됐다.

수협은행의 비전을 살펴보면 우선 내년에는 세전 당기순이익 1300억원을 목표로 내실위주의 성장전략을 유지하는 동시에 비이자이익 증대를 위한 시도가 이뤄지게 된다.

2단계로 2018~2019년에는 세전 당기순이익 1500억원 진입, 은행평균 수준의 1인당 생산성을 목표로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며 3단계인 2020~2021년에는 세전 당기순이익 1700억원 달성, 선도은행 수준의 1인당 생산성 달성을 목표로 수익포트폴리오 최적화와 안정화를 통한 환경대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부터 매년 700억~900억원의 공적자금을 순차적으로 상환, 2028년에는 공적자금을 전액 상환한다는 계획이다.    

# 경제사업 활성화 ‘어려워’…추가 예산 배정해야

수협중앙회 사업구조개편으로 수협은행은 자본금 확충을 통한 수익성 제고가 가능해졌지만 수협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는 경제사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수협중앙회 사업구조개편은 농협과 달리 수협은행의 자본구조를 바젤Ⅲ 금융규제에 부합하도록 전환하는 것에 포커스가 맞춰졌다.

수협중앙회가 최근 수년간 수산물 유통인프라 확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지만 수협의 수산물 유통시장 점유율이 매우 낮은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인프라 확충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차보전 형태로 투입되는 정부의 자금은 모두 수협은행으로 투입, 정작 수협중앙회의 경제사업활성화를 위한 별도의 예산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FPC, 품질위생형위판장, 소비지분산물류센터 등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되던 사업들이 지체되면서 수산물 유통인프라 확충도 늦춰지고 있다.

더불어 수협은행에 추가로 투입된 9000억원의 자본금 중 3500억원은 수협중앙회와 회원조합의 출자와 수산금융채권 등으로 확보했다.

이로 인해 수협중앙회는 50억원 가량의 추가 금융비용이 발생하지만 수협은행의 브랜드사용료는 현재 수준인 300억원 가량에서 물가상승률 수준만큼 인상하는 것으로 상한선이 부여돼있는 터라 금융비용은 오롯이 수협중앙회가 부담해야한다.

수산업계의 한 전문가는 “수협중앙회 사업구조개편은 수협의 경제사업활성화를 위한 게 아니라 ‘은행살리기’의 형태로 진행된 터라 수협중앙회 입장에서는 추가적인 의무와 비용만 발생하는 구조”라며 “수협이 경제사업 인프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황인 만큼 정부에서는 경제사업활성화를 위한 별도의 예산을 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