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수 수산식품팀장

수협이 이달 안에 수협개혁과 관련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확정함으로써 개혁이 8월부터 개혁이 실행된다.
수협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경영합리화, 구조조정이란을 용어를 써가며 개혁을 추진해 왔었다. 다분히 정치적인 논리에 의해 이뤄진 농·축협사정과 같은 직격탄을 맞지 않았지만 수협 역시 예외가 될 수 없음을 직감하면서 개혁을 실행한 것이다.

급기야 수협은 외부경영진단까지 받은면서 개혁의 고삐를 당겼고 앞으로 개혁과정에서 수협맨들의 고통 감내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러한 일련의 개혁작업에 대해 수협은 주장하고 있다. 농·축협에 앞서 자신들은 구조조정등을 통한 개혁을 추진해왔으며 그 결과 상반기 결산등을 통해 그 효과가 나타났다고 말이다.

그러나 해양수산부등 외곽에서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아직까지 미흡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고 보면 수협주장에 설득력이 떨어지는 느낌이다.

최근 수협을 방문한 정상천해양수산부장관이 수협 개혁과 관련한 논조가 이를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정장관은 대통령의 관심사안중의 하나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다소 압박적인 개혁주문을 요구한데서 엿볼 수 있다.

이에대해 자율성을 강조한 해양수산부가 자율성을 침해한 개혁을 주문한 꼴이라면서 볼멘소리를 냈다.
여기다가 해양수산부가 수협을 감독할 수 있는 기관이지만 협동조합의 현실을 몰이해하는 쪽에서 수협개혁을 바라보고 있다고 항변했다.

수협은 사람을 대폭 짜르고 조직을 총체적으로 개편하는 것이 개혁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수협살림에 도움이 되고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합리적인 경영개선이 곧 바람직한 개혁이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처럼 생각하는 수협의 개혁은 그동안 수협이 해왔다고 주장한 개혁과 다를바가 뭐가 있는냐는 것이 해양수산부등 바깥에서 보는 대다수 의견이다.

이러한 견해에 대해 수협내부 일각에서는 공감하는 사람도 있다. 나아가서 해양수산부와 수협과의 시각차를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상호보완적이 측면으로 승화시켜 개혁의 발전적인 모습을 보이자는 입장이다.

이제 수협은 원하든 그렇지 않든 개혁 소용돌이에 빠져있다. 이 과정에서 수협과 해양수산부는 비판적 아니 비난적 자세를 지양하는 것부터가 개혁의 출발점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자율을 빙자한 외압의 개혁도 무사안일과 현실에 안주한 개혁시늉도 볼성 사납다.
"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