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5세 이상 농업인비율이 지난해 처음으로 40%를 넘었다.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10년 뒤 농업인구는 256만명에서 150만명으로 줄고, 향후 20~30년 후에는 고령인구마저도 없는 현실에 마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우리나라 농업의 존립을 위해 농업계 청년 인재양성이 절실한 이유다.

전국의 농학계 대학 40곳은 수십년간 연구중심의 인력을 양성해 농업선진화를 도모해왔다. 그러나 향후 농업인구 부재로 농산업이 붕괴되면 대학 역시 존립의 의미를 갖지 못할 것이다. 이 때문에 이제 대학도 능동적으로 농산업 인력을 배출하는 적극적인 교육을 펼쳐야 한다. 대학에서도 연구자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함은 물론이고 창농과 창업인력양성에도 힘써야 하는 것이다.

이같은 농산업계에 맞는 맞춤형 인재를 육성키 위해서는 현장실습을 병행키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 지금까지 농학계 대학은 농림축산식품부와 교육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정책적 지원에서 소외돼 왔다. 이로 인해 교육과 연구여건이 부실하게 돼 일선의 중고교 시설보다도 못한 실정이다. 아마도 거점국립농대에 제대로 된 온실하나 없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5개 대학에 영농창업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실습교육을 할 실습장 시설 마련을 위한 지원에서는 난색을 표하고 있어, 교육이 겉돌 수밖에 없는 현실에 안타까울 따름이다.

또한 농학계 대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농산업 교육연구지원센터’ 마련을 통해 지역상생발전 농산업 육성 뿐 아니라 청년인재들을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물론 이같은 지역농산업 육성 정책은 농식품부, 농촌진흥청, 유관기관, 시도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주도적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사업의 유사도가 높고 지역적 차별화가 부족해 육성정책의 효과가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극복키 위해서는 지역 농산업 주체의 범위를 지역농업-산업-대학-연구기관으로 확대해 ‘지역농산업 허브’를 구축함으로써 ‘지역농산업의 역량’을 먼저 강화해 나가야 한다.

농업강국인 미국·프랑스·네덜란드의 정부와 지자체들은 지역농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농과대학의 교육과 연구를 농산업 현장에 연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지역특색을 반영한 농과대학의 연구가 지역농업현장에 직결될 수 있도록 강조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 농업과 농촌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혁신을 바탕에 둔 스마트 농정이 필요하며, 이는 단언컨대 지역 농업 및 농촌 혁신을 종합적으로 선도하는 잠재력을 가진 집단인 지역거점 농과대학을 통해 지역농산업을 효율적으로 육성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 농업의 존립을 위해서는 거점농학계대학에 ‘지역농산업 교육연구지원센터’를 설립함으로써 지역기반이 농산업을 다시 부흥시켜야 할 때다.
 

/임기병 (사)전국농업계대학장협의회장 · ​경북대 농업생명과학대학장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