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식 경쟁력 강화대책 필요하다

축종별 사육가구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가운데 신규 축사 설치가 갈수록 힘들어지고 기존 농가도 고령화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른바 ‘맞춤식’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27일 발표한 2017년 1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육우는 지난 1분기 사육마릿수가 264만2000마리로 지난해 동기 보다 4만6000마리(1.8%)가 증가한 반면 사육가구수는 8만9307가구로 지난해 동기 보다 3.7%인 3428가구가 감소했다.

젖소는 원유감산정책 시행에 따른 감축 등이 전개되면서 사육마릿수가 40만마리로 지난해 동기 보다 9000마리(2.1%) 감소한 가운데 사육가구수도 5238가구로 4.4%인 243가구가 감소했다.

돼지의 경우 모돈 증가에 따른 생산 증가 등으로 사육마릿수가 지난해 1분기 대비 1만2000마리(0.1%)가 증가해 1031만8000마리를 기록한 가운데 사육가구수는 4585가구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3.7%, 176가구가 감소했다.

특히 AI(조류인플루엔자)의 직격탄을 맞은 닭과 오리는 사육가구수가 각각 16.2%, 43.1% 감소해 각각 2575가구, 390가구를 나타냈다.

이처럼 축산농가 감소세가 이어지자 축산농가들은 신규 축사 설치의 어려움, 고령화 대비 등 생산농가가 안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정부의 대책을 주문하고 있다.

이병규 축산관련단체협의회장은 “국민들에게 동물성 단백질 식량을 공급하는 축산이 점차 규모화, 정예화되고 있지만 농가수가 갈수록 줄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지자체들이 2~3km 이내 가축사육제한 등을 고수하고 있어 축산 기반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며 “국민들이 농업·농촌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도록 하는 한편 정책적으로 생산비 절감, 자급률 제고 방안 등을 조속히 마련하고 무허가 적법화 등과 관련해 정치권은 축산업 종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법제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홍재 대한양계협회장은 “AI로 인해 산란계가 대량 살처분되면서 계란 생산량이 감소, 결국 소비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안정적인 양계산업 유지를 위한 근본적인 차단 방역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지인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축산실장은 “가축사육제한으로 신규 축사는 들어오지 못하고 수익성 저하에 따라 소규모 농가의 폐업이 증가해 사육가구수는 감소하는 반면 2000년대 이후부터 축산농가의 규모화가 급진전돼 가축사육마릿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유통부문 대책이 필요하며 특히 한우의 경우 사육마릿수 증가만큼의 소비가 이뤄지지 않아 소비촉진 활동과는 별도로 한우가격을 낮추고 농가들의 수익은 보장받을 수 있는 직거래활성화 등의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