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란 정보통신, 디지털혁명 기반의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된 산업환경의 변화를 일컫는다. 4차 산업혁명은 자율성, 분권화, 수평적 연대, 노동의 단순화 등의 속성을 기본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 생각하고 학습하는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극대화된 효율성과 연결성을 추구하고 다품종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미 모든 산업 분야에 뿌리를 내려 빠른 속도로 발전해나가고 있으며 농축산업 분야 또한 예외는 아니다.

농축산업이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 이뤄낼 수 있는 잠재성과 발전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기존 농축산업은 기후 환경, 넓은 토지 면적, 병해충·질병 등의 변수들로 인해 투입 대비 산출량의 효율이 좋다고 볼 수 없지만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의 융복합 기술로 정밀 농업을 구현해 효율성의 극대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발전은 기존 서비스 제조업의 일자리, 도시의 가치를 감소시켜 농축산업의 상대적 가치가 상승하게 되고, 이는 농촌으로의 인력, 자본, 기술 등의 생산요소 회귀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적 난제 해결의 측면에서도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사람의 경험과 지혜에 의존했던 농축산업의 기술한계점을 극복하고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완전무결한 모습으로써의 농축산업이 재탄생할 것이다. 1·2·3차 산업혁명 당시 위축됐던 농업의 현실과 위 내용을 종합해보았을 때, 4차 산업혁명은 ‘농업친화적(農業親和的) 기술혁명’이라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재 4차 산업 기술들은 이미 농축산업 분야 곳곳에 녹아들어 활용되고 있다. 농업용 AI(인공지능)인 농약 살포 드론, 무인 트랙터, 자동 제초 로봇 등이 효율성이 우수한 정밀 농업을 구현하고 있으며, 축사 분뇨 청소 로봇, 로봇 착유기·포유기 등이 도입돼 시설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국내외로는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스마트팜이 곳곳에 도입돼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가축 사양과 작물 재배를 관리하고 감시·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 생산성을 크게 높여주고 있다. 소비와 유통의 측면에서는 사물인터넷이 기반이 돼 수요자 중심으로 시장경제가 재편되고, 인공지능의 시장 유통 흐름 예측을 통해 상품성 극대화 및 실시간 품질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가까운 미래에 더 확장될 것으로 보이며,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은 빅데이터와 결합돼 더 완벽하고 최적화된 생산, 유통, 소비 시스템을 구축해 농축산업의 대변혁을 주도할 것이다. 정부와 기업은 이에 뒤쳐지지 않고 첨단 기술 혁신을 위한 자본의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차기 정부는 또한 정책적, 법적인 지원 등의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농민들이 새로운 환경 속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생산 현장에 전문가를 다수 투입해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농축수산 전문대학에 4차 산업기술과 관련된 교과과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해 전문적인 현장 농업 인력들을 다수 육성해 나가야 한다.

한편, 이러한 급진적인 변화 속에서 차기 정부는 농축산업이 가지는 본연의 가치를 잃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UN에서는 2014년을 가족농의 해로 지정해 오랜 역사동안 이어져왔던 가족농이 지역사회 발전,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전에 큰 기여를 했음을 인정했으며, 이는 농축산업 본연의 가치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지구환경과 산업을 만들기 위한 출발점이라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자본의 논리에 따른 생산비 절감을 위해 농축산업의 4차 산업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운명이지만 인간은 이를 적절히 통제하고 사회적 논의를 통해 올바른 규범과 윤리관을 세워나가야 한다.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발전을 통한 인간과 4차 산업 기술이 공존할 수 있는 상생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우리 미래 농축산업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기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한 농축산업 분야 발전에 많은 투자가 이뤄지기를 희망한다.

-최윤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