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학회 춘계심포지엄

지속 가능한 동물복지형 산란계 농장의 활성화를 위해선 정책자금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가금학회는 지난 18일 건국대학교에서 ‘HP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가금산업의 안정화 대책’이라는 주제 아래 춘계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AI 이후 가금산업 선진화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김상호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연구관은 ‘국내 동물복지 산란계 농장 사육실태 및 해외사육동향’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외 산란계 동물복지 사육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설명하며 “현재 국내 동물복지 축산물의 인식제고를 위한 홍보강화와 동물복지를 실행하는 농가들에 대한 현실적인 정책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관에 따르면 전국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농가는 전체 87개 농가로 이들 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가격 차별화이며, 그 다음으로는 계란품질관리, 투명한 유통, 홍보 순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산란계 동물복지인증 농가 가운데 평사사육을 하는 14개 농가 중 10개 농가의 계란 단가는 250원 미만으로 일반 계란과 큰 가격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물복지가 활성화된 유럽의 경우 동물복지 계란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아 일반란에 비해 높은 가격에도 높은 소비자 선호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동물복지 농장은 일반농장 대비 시설자금에 자금투입이 많은 만큼 시설자금을 우선적으로 지급하는 정책 등의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는 게 김 연구관의 설명이다.

특히 국내 산란계 동물복지 농장의 경우 재래식 자연농법 계사가 41.8%나 차지하고 있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 연구관은 “일반농장에 비해 낮은 단위면적당 계란 생산량과 홍보부족에 높지 않은 계란 단가까지 더해져 산란계 동물복지 농가들의 경제성이 낮아지고 있다”며 “대국민 홍보와 함께 동물복지 농장에 시설자금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등의 정책적인 지원으로 동물복지 농장이 지속가능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