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창간 36주년을 맞이해 특집기획으로 농업·농촌이 지닌 가치를 재조명했다. 농업·농촌에는 식량의 안정적인 공급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시장재화란 이유로 간과된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경제적인 수치로 제시된 사실만을 객관적으로 받아들이는 속성탓에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재화들이 국민들로부터 재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농촌을 통해서는 전통문화 함양과 국민들의 쉼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농업활동을 통해서는 수자원함양, 대기정화, 생태계 유지, 홍수조절 등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 식량생산 기능이외에 농업·농촌이 지니고 있는 이 같은 기능과 가치는 국민들의 삶속에 녹아있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농업·농촌이 지닌 다원적 기능 및 공익적 가치에 대해 철지난 얘기라거나 케케묵은 과제로 치부하는 경향이 짙다. 이 같은 기능과 가치를 막연하게나마 인정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소중함으로 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이에 따른 공익적 가치의 중요성을 끊임없이 강조해 왔음에도 쉽게 국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제는 주장보다는 피부로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다행인 것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매년 실시하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결과’에 따르면 식량의 안정적 공급이 여전히 1위를 차지했으나 자연환경보존, 국토의 균형발전, 전원생활 공간, 전통문화의 계승, 관광 및 휴식의 공간 등이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나 국민의식의 변화가 감지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역시 사회·문화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선진국과 같이 농업·농촌의 기능 및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지표개발을 통해 농업·농촌이 지닌 다원적 기능과 가치를 알려야 한다. 농업소득향상이나 그냥 좋다가 아닌 탄소배출량 감소, 생태보존, 농촌환경개선 등 국민들이 관심있는 분야의 지표를 제시해야 한다.

아울러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공익적 가치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시대상을 헌법에 담아내야 한다.

단순한 농산물 생산기능을 넘어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기능들이 농업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널리 알려 국민과 함께 하는 농업임을 주지시키고, 이를 통해 농업지원이 당연하고, 정당한 보상임이라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