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VS 수산자원남획·환경파괴
자원고갈·조업방해·환경오염 등 피해호소
공유자원 활용에도 실태파악조차 못해
지속적 발전 위해 선진낚시문화 정착 시켜야


낚시산업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낚시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낚시어선업 매출액은 2242억원, 낚시어선 척당 매출액은 5000만원으로 모두 순증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같은 낚시산업의 성장과 함께 갈등 역시 커지고 있다.

서해안에서는 주꾸미 낚시를 두고 어업인과 낚시객간의 갈등이 심각해진 바 있으며 동해안에서는 최근 대문어 낚시를 두고 갈등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낚시산업의 현황에 대해 짚어보고 지속가능한 낚시어선업을 위한 방안을 짚어본다.

# 낚시어선·이용객 모두 ‘증가세’

해수부가 발표한 2016년도 낚시어선업 운영현황 낚시어선과 이용객수가 모두 증가세에 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낚시어선 신고척수는 전년대비 4.9% 증가한 4500척, 낚시어선 이용객수는 전년대비 15.9% 증가한 342만9254명으로 집계됐다.

낚시어선업 전체 매출액은 2242억원, 척당 매출액은 5000만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8.9%, 13.6% 늘었다.

지역별로는 충남도가 1154척으로 전체 낚시어선척수의 25.6%를 차지했으며, 경남도 1036척(23.0%), 전남도 830척(18.4%) 등으로 상위 3개 지자체가 전체 신고어선의 67.1%를 차지했다.

지자체별 이용객수는 경남도가 84만명으로 전체 이용객의 24.4%를 차지했으며 충남도 64만명(18.6%), 전남도 54만명(15.7%) 등으로 3개 지자체가 전체 이용객수의 58.9%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어선 척당 평균매출액은 전북도가 89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용객 1인당 평균 이용금액은 충남도가 8만3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해양레저 수요 증가세를 미뤄볼 때 이같은 낚시산업의 성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신현석 해수부 어업자원정책관은 “앞으로도 낚시인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어업인들의 어업외 소득,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낚시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안전수칙준수 등 선진 낚시문화 정착이 필요한 만큼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어업인·지역사회와 갈등 ‘심각’

낚시산업이 성장세의 이면에는 낚시객과 어업인·지역사회와의 갈등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단적인 예가 주꾸미 낚시를 둘러싸고 어업인과 낚시객, 어업인과 낚시어선어업인간의 갈등이다.

주꾸미 낚시를 위해 레저보트 등이 몰려들면서 충남 일대의 어업인들은 주꾸미 자원 고갈과 버려진 낚시도구로 인한 조업방해, 환경오염 등에 따른 피해를 호소해 왔다.

또한 낚시어선어업인들은 지난해 가을에 자율합의를 통해 낚시어선업 영업시간을 2시간 단축키로 합의했으나 이마저도 잘 지켜지지 않았다.

더불어 어촌의 지역주민 역시 어항부지 등에서 이뤄지는 낚시객들의 무분별한 주차에 극심한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주꾸미 낚시를 둘러싼 갈등은 하나의 사례일 뿐 지역별로 사례를 살펴보면 낚시객과 어업인간의 갈등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창수 수협 수산경제연구원 박사는 “낚시를 둘러싼 갈등은 지역별로 다른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정부의 정책은 낚시객과 어업인간의 갈등을 봉합하는 것이 아니라 낚시어선어업인과 어업인간의 갈등으로 비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 지속가능한 낚시산업, 실태조사 ‘필수’

수산업계의 전문가들은 낚시어선업을 비롯한 낚시산업이 지속가능한 레저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실태파악과 함께 정부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우선 낚시산업이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 낚시객과 어촌 지역민간의 갈등, 어업인과 낚시어선어업인간의 갈등 등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가 관리에 나서야한다는 것이다.

김수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 팀장은 “낚시객들이 이용하는 수산자원은 공유자원인데 우리나라는 낚시객이 이용하는 자원량을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며 “특히 낚시객들이 주로 조획하는 어종들은 고급어종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관련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정삼 KMI 어업자원연구실장도 “수산자원관리의 기본은 현재 가용한 자원량과 이용되는 자원의 양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 수준의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건데 낚시는 조획량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낚시산업이 지속가능한 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낚시 조획량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어업인들에게 적용되는 조업규제를 낚시객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창수 박사는 “우선은 낚시객들로 하여금 수산자원관리나 안전과 관련한 교육을 반드시 이수토록 하고 교육을 이수한 사람에 한해 신고를 통해 낚시를 허용, 낚시객들로 하여금 공유자원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줄 필요가 있다”며 “더불어 낚시객들과 지역사회가 공존할 수 있도록 어촌계에 대한 쓰레기봉투 지원 등 정책적인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