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는 도축마릿수가 증가와 수요 불확실성으로 도매가격 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낙농부문은 2분기 원유생산량이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됐으며, 돼지의 지육 가격은 생산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보다 상승할 전망이다.
 

가금산물인 닭고기와 계란은 AI(조류인플루엔자)의 영향으로 여전히 수급이 불안한 상태를 지속,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오리는 생산량 감소에도 소비 위축으로 가격 상승 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25일 발표한 축산관측을 정리했다. 

# 한우, 도매가격 작년대비 약세
 

도축마릿수와 공급물량이 증가하고, 수요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한우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약세가 전망됐다.
 

6월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0.7% 증가한 277만마리로 예상됐지만 9월 사육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1.0% 감소한 276만마리로 전망됐다. 이는 6~8월 거세우 출하물량 증가로 도축마릿수가 전년 동기간보다 1.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6~8월 큰소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동기간보다 하락한 kg당 1만6500~1만7500원으로 예측됐다.
 

특히 소규모 번식 전문농가 감소로 송아지 생산이 크게 늘어나기 힘든 상황으로 올해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감소새는 올해 이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농경연은 전망했다.

# 젖소, 2분기 원유 생산량 전년 동기와 비슷
 

6월 젖소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0.5~1.0% 감소한 39만8000~40만마리로 전망됐다. 9월 사육마릿수는 여름 이후 도축 증가와 1~2세 사육마릿수 감소로 전년보다 0.8~1.3% 감소한 40만2000~40만4000마리로 예측됐다.
 

농경연은 이같은 전체 사육마릿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2세 이상 사육마릿수와 착유우 마릿수가 전년 동기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 2분기 원유 생산량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53만~53만5000톤으로 내다봤다.
 

9월 착유우 마릿수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던 지난해 기저효과로 3분기 원유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0.3~1.2% 증가한 50만9000~51만4000톤으로 전망됐다.

# 돼지, 지육가격 탕박 kg당 5000~5300원 전망
  국내 돼지 지육가격 상승에 따라 6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증가하지만 국내 생산량은 감소해 6월 돼지 지육 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상승한 탕박기준 kg당 평균 5400~5700원으로 전망됐다.
  농경연은 지난해 여름 폭염피해로 인한 생산성 저하로 6월 등급판정 마릿수를 전년 동월 129만마리보다 감소한 122만마리로 전망했다. 등급판정 마릿수 감소로 6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2.0% 감소한 6만4000톤으로 예상됐다.
  한편 7~11월에는 돼지고기 생산량과 수입량의 증가가 전망됨에 따라 7~8월 평균 지육가격은 6월보다 하락한 5000~5300원, 9월은 4600~4900원, 10월은 4300원으로 예측됐으며, 11월은 김장철 수요로 10월보다 상승한 4600원 수준으로 전망됐다.

# 닭고기, 공급량 감소로 강세 지속
 

도계마릿수와 닭고기 수입, 재고 감소로 닭고기 공급량은 전년 동월보다 감소하고, 본격적인 더위 시작하면서 닭고기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6월 육계 산지가격은 지난해보다 상승한 kg당 1900~2100원으로 전망됐다.
 

6월 도계마릿수는 육용계 사육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월보다 6.1% 감소한 8453만마리로 전망됐다. 또한 산지가격 강세에도 불구하고 6월 닭고기 수입량은 브라질산 닭고기 파동에 따른 수요 감소로 전년 동월보다 감소한 7000톤 내외로 전망됐다.
 

이와 함께 닭고기 공급 감소로 산지가격이 상승해 지난 15일 기준 냉동 비축물량은 지난해보다 31.4% 감소한 748만마리였으며, 닭고기 가격 강세로 국내 냉동 비축물량 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계란, 특란 10개 1950~2020원
 

산란노계 비중 증가, 계란 생산가담 신계군 감소로 계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하락, 6월 계란 산지가격은 전년대비 평균 103.3% 상승한 특란 10개 기준 1950~2050원으로 전망됐다. 
 

농경연에 따르면 산란계 매몰 처분 영향으로 6월 6개월령 이상 산란용 닭 마릿수는 전년대비 16.5% 감소한 4366만마리로 전망됐다.
 

이같은 6개월령 이상 산란용 닭 마릿수 감소와 산란 가담 신계군 및 산란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6월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18% 감소한 5599만마리로 전망됐다.
 

한편 AI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주령 연장을 최대 100주령까지로 가정할 경우 9월 이후 산란계마릿수는 평년 대비 90% 이상 회복될 것으로 농경연은 예상했다.

# 오리, 소비 위축으로 가격 상승폭 크지 않아
 

AI(조류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여름철 오리고기 생산량이 감소하지만 소비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어 가격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4~7월 육용오리 병아리 생산잠재력은 전년보다 평균 29.1% 하락한 것으로 추정됐다. 따라서 6~8월 도압 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38.9% 감소한 1211만마리로 전망됐다.
 

도압마릿수 감소로 6~8월 국내 오리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38.9% 감소한 1만7699톤으로 추정되며, 수입량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 6~8월 오리고기 총 공급량은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한 1만8324톤으로 추정됐다.
 

따라서 6월 생체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다소 상승한 3kg당 8200~8700원, 7~8월은 8500~9000원으로 전망됐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