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홍성재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운영본부장
투명한 기금관리 만전·행정시스템 구축 완료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이하 농어촌상생기금)은 2015년 11월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여·야·정’ 합의에 따라 도입, 농어촌상생기금 운영 전담조직인 ‘농어촌 상생협력기금 운영본부’가 지난 3월 말 공식출범했다. 농어촌상생기금은 민간기업 출연금으로 연간 1000억원 씩 10년간 총 1조원의 기금을 조성한다는 계획으로 자녀장학·의료·문화·주거개선 사업 등 사업의 범위 등을 법제화해 기금 운영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본지는 홍성재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운영본부장을 만나 상생기금 진행 경과와 앞으로의 계획을 들어봤다.

-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농어촌상생기금 조성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 재단 차원에서 농어촌상생기금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지.

“새정부는 ‘상생’에 가치를 두고 있어 지난 연말 상생기금 조성을 위한 관련법이 통과됐을 때 대비 기대가 크다. 현재 상생기금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재단 차원에서 단계별 대응전략을 마련했다. 기금 조성, 조성 기금에 대한 시스템적 관리, 기금의 용처가 될 사업 등이 바로 그것이다. 사업 모델은 크게 ‘협력’과 ‘지원’으로 나눠볼 수 있다고 보고 유형을 패키지화 해 기업과 재단 간 협약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기본틀은 완료됐지만 기업이 원하는 사업형태가 우리가 마련한 모델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향후 변형된 사업틀을 다시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본다. 또 사업모델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관리시스템이 필수적인 만큼 행정적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고 현재 전산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기금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지는 이사회 성격의 운영위원회를 구성했고 자금과 사업적정성, 규모 타당성 등을 심사하는 심의위원회를 구성 중에 있다. 향후 사업이 본격화 되면 현장을 관리할 수 있는 인력 마련도 필요하다고 본다.”
 

-상생기금을 출연한 기업이 있는지 여부와 상생기금 조성은 어느정도 진척이 되어가고 있는가.

“출범 후 현재까지 모인 기금은 김종회 의원(국민의당, 김제·부안)이 기부한 기금이 있으며 공기업과 민간기업이 각 1곳씩 기금 출연을 준비 중에 있다. 공기업 1곳이 1차로 출연하겠다고 의사를 타진해왔고 민간기업은 상생기금 출연 스타트기업으로 준비하고 있다.
 

-상생기금 관련 하반기 운영계획은 어떠한 것들이 있나.

“아무래도 가장 큰 것이 모금 계획이다. 기금을 출연할 수 있는 기업이 대기업과 중견기업이라고 보고 현재 출발단계이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대기업 위주로 진행 한 후 2차로 중견기업으로 확산시킨다는 복안이다. 기업 중에서는 농어촌과 관련이 많아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명분이 있기 때문에 관련 기업을 위주로 접근할 계획이다. FTA 관련법인 만큼 FTA로 수혜를 입었다고 보여지고, 무역이득을 농어촌과 어느정도 공유하면 좋겠다는 기대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에서 모금계획을 짰고 협력모델 5개안과 지원모델 2개안을 만들어 놓았는데 이것만으론 기업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접수되는대로 추가 모델을 개발할 것이다. 또한 직원을 대상으로 한 현장 교육도 진행할 방침이다.

 

- 큰 틀에서 목표와 방향은

“농어촌상생기금이 법에서 명시한 10년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첫 발을 잘 떼야 한다는 의무감이 있다. 국민들이 제1순위로 희망하는 것이 기금의 투명한 관리인만큼 기금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기업들도 관련 사업을 통해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이 들 수 있도록 관리를 해 나갈 것이다. 농어촌상생기금 관련 사업을 통해 기업들이 농어촌에서 활동할 수 있는 사업의 모티브를 줄 수 있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