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계란 출처를 알 수 있게 하는 ‘난각코드’ 표시 주체가 생산자로 일원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최근 제기됐다.

최근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정부가 계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개선에 돌입한 가운데 원활한 계란의 이력추적을 위해선 생산자와 식용란수집판매업의 영업자로 이원화된 난각코드 표시 주체를 생산자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축산물의 표시기준에 따르면 ‘생산자 또는 식용란수집판매업의 영업자는 계란의 난각에 생산자명을 표기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현재 이 기준에 따라 농가나 식용란수집판매업 영업자는 난각에 생산자명 또는 판매자명과 소재지를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원화된 난각표시 주체로 계란 생산이력 추적에 맹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 경기도 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을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식용란수집판매업자가 난각코드를 표시할 경우 경기도 지역번호인 08이 아닌 강원도 지역번호인 09로 표시해 유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80% 가량이 농장에서 난각코드가 입력돼 유통되고 있는 만큼 난각코드 표기 주체에 식용란수집판매업자를 제외하고, 생산자만을 대상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게 업계 전반의 의견이다.

이와 함께 난각코드 표기 주체 일원화를 위해선 영세한 산란계 농가들이 마킹기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난각코드 마킹기계의 가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계란유통 관계자는 “난각코드가 기입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유통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계란유통업자에게 전가되고 있다”며 “과거 각 시도에서 난각코드 마킹기계를 농가에 지원하는 사업을 통해 현재 80% 이상 농가가 마킹기계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난각표기 주체를 생산자로 일원화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도 “현재 대부분의 계란이 농장에서 난각코드가 기입돼 유통되고 있어 이번 살충제 계란 파동 가운데 이원화로 인한 큰 피해는 없었지만 이를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선 영세한 농장도 마킹기계를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