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계가 직면하고 있는 새로운 리스크는 바로 수산물 식품안전성 문제다.

2013년 일본원전오염수 유출문제로 불거진 수산물 소비위축과 지난해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수산물의 폐사, 콜레라 발생 논란 등 식품안전성 논란으로 수산물 소비가 위축, 수산업계가 어려움에 처한바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살충제 계란 논란이 불거지면서 수산식품의 안전성 문제가 언제든지 수산업계를 휘청거리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수산물 산지위판장 등의 열악한 유통환경과 비위생적인 처리과정 등이 지속적으로 문제점으로 부각돼왔지만 이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수입수산물에 길들여져 가는 미래세대를 위한 식생활 교육은 제대로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이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배경에는 해양수산부의 조직문제가 자리잡고 있다.

해수부에서는 수산식품의 안전성 관련 업무는 어촌양식정책과에서 총괄하고 있고, 수산물 유통과 소비에 관련된 업무는 유통정책과, 수산가공식품 업무는 수출가공진흥과에서 수행하고 있어 수산식품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총괄적인 정책수립·집행이 어렵기 때문이다.

산지의 수산식품 안전성 문제는 수산물 유통과 소비에도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해당 수산물로 만드는 가공품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산식품산업의 육성과 수산물 유통, 수산물 소비촉진 등의 업무가 서로 다른 정책관실로 분리돼 있는 것은 정책의 일관성을 해칠 우려가 크다.

이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식품산업정책실 아래에 식품산업정책관과 유통소비정책관을 두고 식품안전성 문제와 소비촉진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과 대조된다.

지금부터라도 수산물 유통과 위생안전성 문제, 수산가공식품산업 육성 등과 관련한 정책을 총괄적으로 수립·집행할 (가칭)유통소비정책관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해야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높아질 수밖에 없고, 해수부에서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