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에서 식탁까지…안전, 또 안전

‘1989년 11월 우지라면 사건, 2000년 8월 납 꽃게 파동, 2003년 12월 광우병 파동, 2004년 6월 불량만두 파동, 2005년 9월 납 김치 파동, 2011년 3월 일본산 식품 파동, 2015년 4월 백수오 파동 그리고 올해 발생한 햄버거병과 살충제 계란 파동’

식품안전사고가 어느덧 연례행사가 돼 버렸다. 먹을거리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가로 식품안전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식품안전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발생한 살충제 계란 파문은 식품안전문제와 관련해 여러 가지 시사점을 안겨주며, 농축산물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식품안전사고는 한순간의 방심이 대형사고로 이어지고 피해도 만만치 않다.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에서 보듯이 문제의 시작은 계란이었지만 이를 계기로 국민들에게 국내산 농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을 촉발시키기도 했다.

따라서 국내 농축산물 안전성의 위기는 곧 우리나라 농축산업의 위기라고 할 수 있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식탁을 만들기 위해선 단순히 행정적인 감시와 관리를 강화시키는 것만으론 한계가 있다. 생산단계부터 가공·유통, 소비단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안전관리시스템이 확립돼야 한다.

양병우 전북대 교수는 “안전한 식품은 보거나 먹어서 알 수 없는, 소비자들의 신임과 신뢰에 의해 결정되는 신뢰재이다 보니 안전성과 식품안전체계에 대한 신뢰가 국내산 농축산물의 수요와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소비자들은 농축산물의 모양과 색깔, 먹어본 맛에 대한 경험에 더해 안전한 식품이라고 느끼는 신뢰에 대한 프리미엄 만큼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국내산 농축산물의 안전성관리체계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높이는 일은 우리나라 농축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가장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지는 ‘국민 체감 식탁(食卓)안전을 만들자’ 제하의 스페셜기획을 통해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로 불거진 친환경인증제도의 문제와 유통·도축가공부문의 안전성 확보, 농식품 안전관리체계의 일원화 등을 중심으로 국내 농축산물의 안전관리체계를 점검하고 향후 풀어야할 과제를 짚어봤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