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쌀 시장격리물량에 대한 매입에 본격 나섰다. 역대 최대치인 37만톤을 격리하기로 한데 이어 매입시기도 앞당겨 쌀값회복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올해 산 쌀 시장격리 물량에 대해 시·도별로 물량을 배정하고, 매입지침을 확정해 자자체와 관계기관에 통보했다. 시장격리물량이 농가단위까지 배정되면 농가가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어 수확기 쌀 수급안정 및 가격이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다가 과거의 경우 구곡 7~10만톤 가량이 신곡이 출하되는 10월 이후까지 시장에 남아 있었으나 올해의 경우 지난달 중순경 전량 소진된 상황이다. 일찍 소진된 구곡만큼 신곡 수요량이 늘어난데다 올 수확량이 예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농협도 3000억원을 더 추가한 총 1조9000억원을 들여 180만톤의 쌀을 매입하기로 하는 등 쌀값을 끌어올릴 수단이 총동원됐다고 할 수 있다.

쌀값 회복을 위한 이 같은 노력으로 이달 초 쌀 산지가격이 15만선을 넘어선데 이어 그 이상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년전의 쌀값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농민들이 모처럼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대농들이 가격 상승 기대에 편승해 쌀 출하를 기피할 것이란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이다. 쌀값이 더 오를 때 까지 기다린 다음 쌀을 내겠다는 것이다. 최근 4년 연속 과잉생산으로 손해를 봤던 대농들 입장에서는 그동안의 손해를 만회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쌀값이 얼마까지 오를지는 모르나 국민들의 주식인 쌀을 생산한다는 긍지와 책임감을 주장하던 농민들이 쌀값이 오를 기미가 보이자 사익을 챙기려는 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 가뜩이나 쌀 소비가 줄어 들고 있는 가운데 쌀값마저 비싸다는 인식을 줘서는 안된다.

또 하나는 정부 및 농협의 시장매입물량이 계획대로 채워질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도 앞선다. 공공비축미를 포함한 72만톤의 정부매입물량 달성 여부가 쌀값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대농들의 쌀 출하기피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대농들이 정부 매입물량에 소극적이면서 농협 및 민간 미곡종합처리장(RPC)들은 신곡 매입이 더욱 힘들어졌다.

역대 최대치의 정부 매입량, 쌀 수확량 감소, 구곡 조기 소진 등 모처럼 만에 쌀값이 회복될 수 있는 호기를 맞은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쌀값 급등 기대에 기댄 대농들의 잘못된 판단은 쌀값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