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가공식품 활용 등 간편 아침밥 지원 방안 모색해야

청소년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28.2%로 3명 중 1명은 1주일에 5일 이상 아침을 먹지 않고 있으며, 쌀 소비 또한 매년 감소함에 따라 청소년 건강증진과 쌀 소비 증대를 위해 학교 아침밥 지원 사업이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해랑 (사)식생활교육서울네트워크 상임대표는 지난 9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 제주 서귀포)과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주최하고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가 주관한 ‘청소년 아침 결식률 감소와 쌀 소비 확대 방안 모색 정책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상임대표는 ‘학교 아침밥 지원 사례와 확대를 위한 정책 과제’를 통해 “아침밥 지원사업에 대한 현장의견 수렴을 위해 학부모(2549명)와 교직원(6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6%가 찬성했다”며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학교 아침밥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실제 시행을 위해서는 시스템 구축, 이해 관계자 간 합의, 재정 확보 등 선결과제에 대한 협의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단순히 한 끼 식사를 더 제공해 쌀 소비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아침밥 지원을 통해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밥을 중심으로 한 한국형 식문화와 삼시세끼를 골고루 먹는 전통 식생활 습득을 통해 청소년 건강과 쌀 소비 감소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다양한 아침급식 모델을 개발하고 청소년 아침밥용 쌀 가공식품 개발, 아침밥 제공 기준, 운영지침 마련 등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한다”며 “뉴욕시처럼 지역 생산품을 이용한 급식 메뉴를 구성한다면 국산 농산물 소비촉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선우 농식품부 식량정책과장은 “지난 1월 임시국회에서 쌀 소비 촉진을 위해 학교 아침급식 제공 필요성 등이 강조된 바 있다”며 “아침급식 관련 국내외 사례조사와 관계자 대상 설문조사 등 연구과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과장은 이어 “향후 과일간식 등 유사지원사업과 아침급식 연구용역 결과 등을 참고해 아침급식 사업 추진 타당성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쌀가공식품 활용 등 간편 아침밥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관계부처와 협의 등을 통해 예산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