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 정비 한계…농기계 임대지원 정책 체계적 이뤄져야

밭농업의 생산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종묘 생산·보급과 농기계 임대지원 정책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채광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14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전남대 산학협력단이 주최하고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 주관한 빅데이터 특별토론회 ‘빅데이터와 밭기반 정비’에서 이 같이 밝혔다.

채 연구위원은 ‘밭농업 이용실태와 활성화’ 발표를 통해 “밭농업 시스템화를 위해서는 병충해와 바이러스에 강하고 기계화를 통해 수확 작업도 용이할 수 있도록 종자와육묘기술을 확립해야 한다”며 “노동력과 기계화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종자를 중심으로 농자재와 생산 전 과정의 다양한 기술을 체계적으로 결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종구 개발, 농작업 효율화 등 생산부분의 내실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수익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단순한 고품질화, 고가격 추구만으로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고 수익구조 개선에도 한계를 나타내고 있어 지역별로 판매망 및 유통 경로 개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지자체에서 농기계 임대 지원 관련 정책이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밭 정비에 대한 한계에 따라 개발된 대형 농기계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등 현장 수요에 맞춰 정책이 지원돼야 한다는 것이다.

채 연구위원은 “농가의 공동이용 및 지역설정에 적합한 임대농기계 구입, 밭농업 사용 소형 농기계와 부속작업기의 구입, 임대농기계 창고 설치, 지게차 등 임대농기계 관리장비 구입, 임대농기계 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생산과 수확 이후에는 유통과 소비지 니즈에 맞는 마케팅에 대한 정책지원으로서 노동력 감소, 고임금, 재배면적의 감소, 낮은 생산성, 지역의 경쟁력 연계 등 현실성을 고려해 전략적 의사결정이 진행되도록 농산물 품목별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유통환경과 소비자 식생활의 변화 등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단기 및 중장기적인 밭작물의 유통·소비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해야 한다”며 “상품화 전략으로 단순한 원물을 유통하는 단계를 넘어 신선편이 식품 또는 가공품 등의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