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계란 산란일자 표기 의무화 추진을 두고 양계농가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산란일자 표기가 신선하고 안전한 계란 공급을 위한 최선의 방법인지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13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선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 비례) 주최, 대한양계협회 주관으로 ‘계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국민 토론회’<사진>가 열렸다.

생산자, 정부, 소비자, 학계 등 각계각층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토론회에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계란 산란일자 표기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안전하고 신선한 계란유통은 단순히 산란일자 표기만으로는 가능키 어려울뿐만 아니라 오히려 생산기반만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만큼 생산·유통 전반에 걸친 안전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홍재 대한양계협회장은 ‘계란 산린일자 표기 문제점 및 개선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비록 외국의 사례가 정답은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산란일자를 표기하는 국가는 없으며, 모든 사육여건이 다르고 계란을 수집하는 시기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계란 난각에 산란일자를 표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성토했다.

특히 이 회장은 “콜드체인 시스템이 완벽하게 갖춰지지 않은데다 소비자들이 계란을 구매할 때 신선도보다는 산란에 가까운 날짜를 위주로 구매하면서 생기는 재고량에 대한 문제가 현실로 나타날 것”이라며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을 초래, 소비자들이 비싼 계란을 소비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그는 “계란은 신선도가 중요하지 산란일자는 큰 의미가 없으며, 계란 생산·유통과정 전반에 걸친 안전시스템 구축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를 나선 김진석 한국양계농협 경제상무도 “홍콩에 계란을 수출했는데 유통기간이 50일이었다”며 “이처럼 품질에 문제가 없음에도 자칫 소비자들이 빠른 산란일자의 계란만 찾게될 경우 전혀 이상이 없는 계란들도 가공용으로 쏟아져 결국 농가손실로 전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김상호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연구관은 “좋은 계란을 묻는 소비자 조사결과 신선도 보다는 위생·안전성을 중요시 했으며, 냉장유통시 3개월까지도 품질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따라서 산란일자 표기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의문시 되는 제도이며, 먼저 소비자에게 유통기간에 따른 계란이 가진 식품적 가치를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은 “계란유통 구조상 신선한 계란 공급이 안됐기 때문에 산란일자 표기를 시행케 된 것”이라며 “산란일자에 얽매이지 않더라도 신선한 계란 공급이 가능하다면 어느 방안이 효율적인지 용역 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의견에 소관 부처인 식약처의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좌정호 식약처 식품안전정책국 과장은 “식품표시는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신뢰가 가장 중요한데 우리는 신뢰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여기에 살충제 계란사건으로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면서 결국 정부가 개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좌 과장은 “산란일자 표기는 8년 전부터 논의돼 온 사안으로 더 이상 연기할 수 없으며, 이미 일부 법과 제도는 개정이 이뤄진 상황”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