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채취, 어선 척당 어획량과 직결"
"모든 기준 재정립후 재조사 실시해야"

바닷모래채취에 대한 어업피해조사 결과를 두고 조사기관별 결과수치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되고 있다.

해양환경관리공단(KOEM)이 실시한 ‘남해 EEZ(배타적경제수역) 골재채취단지 어업피해 추가보완조사’에 따르면 △골재채취 작업과 부유사 농도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 △퇴적물 이동 모니터링 △저서생태계 영향 등의 영역에서 전남대가 실시한 연구보다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전남대가 실시한 연구용역에서는 골재채취작업과 부유사 농도 변화간에는 상관관계의 규명이 어렵다고 돼 있지만 KOEM이 실시한 연구에서는 골재채취 강도에 따라 월류수의 부유사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는 전남대 연구용역에서 ℓ당 1mg 이상의 확산범위가 표층에서는 5.8km, 저층에서는 11.4km인 것으로 보고됐지만, KOEM의 연구에서는 ℓ당 1mg의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는 표층과 저층 모두에서 54km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 이동 모델링을 보면 전남대는 골재채취후 월 퇴적량이 평균 1.56cm라고 밝혔으며 이를 30년간에 걸친 퇴적에 적용할 경우 561cm가 퇴적되는 결과가 나온다.

하지만 해양환경관리공단(KOEM)에서는 골재채취 1년 후 퇴적고는 21cm이고 30년 후에는 71cm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처럼 큰 편차를 보이는 것은 전남대가 수행한 연구에서는 파랑의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데다 모의실험이 1개월에 그쳤기 때문이다.

반면 KOEM은 NOAA(미국 해양대기청)의 장기 파랑자료를 분석해 이를 적용했으며 퇴적도 30년이라는 장기간을 적용, 골재채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의 퇴적이 끝난 이후까지 모두 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불어 골재채취가 저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남대 측은 골재채취 영향이 뚜렷하지 않다고 밝혔지만 KOEM에서는 채취지역과 비채취지역은 저서생태계의 종조성과 생물량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어류의 먹이생물 중 87% 이상이 저서생물이며 어류의 회피나 이동능력을 배제하면 바닷모래채취 지역의 어류부양능력은 비채취지역의 20~2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는 등 바닷모래채취가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어업피해조사에서도 남해 골재채취단지 인근의 15개 해구에서 골재채취량이 어선의 단위 척당 어획량과 높은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골재채취 광구의 휴식년제가 일정부분 해양환경의 회복에 기여하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못해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부실조사’ 논란이 불거졌던 전남대의 연구가 KOEM의 연구와 차이를 보이면서 수산업계에서는 바닷모래채취에 따른 영향을 정밀하게 재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골재채취기간을 연장할때마다 어업피해조사를 미끼로 어업인의 동의를 받아냈는데 16억원이 투입된 연구용역마저 엉터리 조사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KOEM이 실시한 연구용역은 기존에 전남대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연구로 보다 세밀한 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준을 새롭게 정립한 후 재조사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복원에 굉장히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인만큼 바닷모래채취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정확히 파악될 때까지는 골재채취를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