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7일 전북 고창에서 시작된 AI(조류인플루엔자)가 경기도까지 확산되자 방역당국에 초비상이 걸렸다. AI는 그동안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혀 온데다 다음 달 국제적인 행사인 평창동계올림픽까지 예정돼 있어 긴장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고병원성으로 확진되기도 전에 H5 항원만 확인되면 일시 이동중시 명령을 발령해 일제 이동중지, 소독 및 살처분을 실시하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도 지난 4일 포천 소재 산란계 농장에서 AI가 발생하자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제하고, 총력대응을 지시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지역에 대해서는 AI 발생지역의 가금반입 전면 금지, 소독시설 확대 운영, 소규모 가금농가 대상 예방적 수매·도태 등을 실시하는 등 AI차단방역 및 확산저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난 4일 기준 고병원성 AI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총 10건에 이르고 있다. 지난해 11월 17일 전북 고창의 오리농장을 시작으로 전남 영암 네 곳, 전북 정읍, 전남 고흥 두 곳, 나주, 포천 등에서 AI 확진 판정을 받았다. 정부는 이 기간 동안 예방적 살처분 25호 69만3000수를 포함해 총 35호 106만9000수를 살처분했다.

더 이상 고병원성 AI가 확산되지 않도록 철저한 차단방역에 나서야 한다. 특히 이제는 AI가 상시화됐다는 전제하에 사전 예방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지난해 5월 13일 전북 익산 AI 방역지역 내 이동제한 해제를 마지막으로 전국에 내려졌던 이동제한 조치가 해제됐으나 채 한달도 안돼 AI가 재발한 사례가 이를 말해주고 있다. 지난해 6월 2일 제주를 시작으로 전북 군산, 익산, 전주, 완주, 임실에 이어 경남 울산, 양산, 기장 등으로 AI가 확산돼 지독한 고충을 겪었다.

따라서 연중 내내 AI 방역을 염두에 두고 방역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소독설비 구비의 의무화, 방역기준 준수 여부 및 축산법 시설기자재 구비여부 등을 점검하고, 철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국가간 AI예찰정보 공유체제 마련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이 그것이다.

아울러 일본, 중국 등 이웃나라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고, 백신도입에 따른 유불리와 밀식사육의 경제적효과를 보다 철저하게 따져봐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농가 및 계열화업체 스스로의 책임의식을 높여야 한다. 정부의 AI 확산 저지 노력과 함께 농가들도 상시 방역에 집중해야 하는 만큼 같은 지역에서 두 번, 세 번 AI가 발생하는 일이 생겨서는 더 이상 염치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