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올해도 주요 영농자재가격을 끌어내리면서 3년 연속 인하하는데 성공했다. 자재별 인하율을 살펴보면 비료 2.1%, 농기계 6.1%, 농약 1.2%, 종자 4.4%, 사료 2.2% 등이다. 농협은 영농에 가장 밀접한 5대 자재 가격을 인하함으로써 2016년 1500억원, 2017년 692억원이, 올해 367억원 등 총 2600억원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근 3년간 소비자 평균 물가상승률이 1% 이상이었던 점과 가격인하에 따른 농자재 업계의 반발이 거셌던 점을 감안해볼 때 각고의 노력이 뒤따랐음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농자재 업계는 원자재값 인상, 자재생산비 상승 등으로 인해 오히려 자재값이 인상돼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고, 일부 업체는 농협과의 거래를 포기하겠다는 선언을 할 정도여서 난항이 예상되기도 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농협은 농업인의 경제사회적 권익보호와 농가소득 5000만원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영농자재 가격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통계청의 농가경제조사에 따르면 2016년 농업소득은 1007만원으로 2003년 1057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수입농산물로 인한 국산농산물의 경쟁력하락에도 원인이 있으나 농업총소득에서 차지하는 자재값의 비율이 30~40%에 달하는 탓도 있다. 농업총소득은 줄어드는데 반해 영농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서 농가소득 향상이 요원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영농자재값을 인하한 것은 경영비 부담을 절감, 농업소득을 끌어올리는 반사이익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농업인들을 위한 농협의 과감한 결단에 박수를 보낸다.

다만, 3년 연속 농자재값 인하가 자칫 농자재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농자재값 인하가 거품이 빠지는 것이라면 다행이지만 경영비부담으로 이어질 경우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농자재의 품질저하나 재투자 여력이 부족해 농자재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경우 이 역시 농업인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이다.

또 하나는 농업소득을 영농자재비 인하로 메우려 해서는 안되고, 메울수도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농협이 영농자재값 인하로 절감한 농가경영비는 지난 3년간 2600억원에 달하는 큰 금액이지만 이를 농가별로 환산하면 10만4000원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업소득은 엄연히 영농활동 즉,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해 제값을 받는 것으로 평가돼야지, 경영비 절감이 주가 돼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농협이 주창하는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 역시 핵심은 농자재값 인하가 아닌 농산물 제값받기에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