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축산인 발굴·육성 준비 필요
축산정책·제도 개선 머리 맞대야

선진국들이 길게는 100년 이상, 최소 40년 이상에 걸쳐 고령화사회에 접어드는 반면 우리나라는 불과 19년만에 급속도로 진행됐다. 특히 축산의 고령화율은 2016년 40%를 넘어서 우리나라 전체 고령화율 13.53%의 3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을 노출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급속한 고령화는 현재 1.1%(1만1000명)에 불과한 40세 미만 농가 경영주가 2025년에는 0.4%(3700명)로 급감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을 인식하고 정부도 올해부터 청년창업농 1200명에게 최장 3년간 월 100만원씩 지원하는 ‘청년 창업농 육성대책’을 마련해 추진키로 하고 2022년까지 청년농업인 1만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문재인 정부도 출범과 함께 3대 핵심전략 중 하나로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을 국정과제로 설정,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예가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부터 청년창업농 1200명에게 최장 3년간 월 100만원씩 지원하는 ‘청년 창업농 육성대책’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청년농업인 1만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정부의 청년농 관련 정책은 아직도 보완해야 할 것들이 부지기수다.

청년 축산인 중 영농의지와 발전 가능성이 큰 청년 축산인을 발굴하고 선도적으로 축산업을 이끌어갈 정예인력으로 육성키 위한 준비가 필요한 시기다.

이에 본지는 ‘청년 축산인 고민을 나누고 미래를 그리다’라는 기획연재를 통해 열정과 패기, 아이디어로 뭉친 청년 축산인들의 애로사항, 제도적인 문제 등을 함께 고민해 보는 기획시리즈를 연재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