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본지와 위성곤 의원이 함께 개최한 ‘농식품 수확후관리 진단과 과제’란 주제의 좌담회에서 전문가들은 농식품 수확후관리기술 분야의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제2의 농산물 생산’으로 불릴 만큼 농식품 수확후관리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관련 기술개발 및 연구가 정부 및 공공기관 등으로 나눠져 있어 시너지를 낼 수 없다는 게 그 이유이다.

농식품 수확후관리기술은 농산물 생산 후 소비자 식탁에 오르기 직전까지의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기술로 농산물의 손실을 줄이고, 농산물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농산물 생산이후 관리여부에 따라 상품성 저하는 물론이고, 손실률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어 농식품 수확후관리기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과수, 화훼, 채소류 등 농산물 유통과정에서의 관리미흡으로 인한 손실이 20~30%에 달하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3조원에서 5조원에 이른다는 연구결과가 이를 말해 주고 있다. 이를 다시 말하면 농산물에 대한 수확후 관리를 제대로 할 경우 연간 3조원에서 5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농업인들이 생산성을 높이고, 고품질의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해도 생산이후의 관리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일정 정도의 손실은 감수해야 하는 만큼 수확후관리기술은 제2의 생산이라고 불릴만하다.

농식품 수확후관리기술의 체계적인 관리와 농촌진흥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식품연구원 등 각 기관별로 나눠져 있는 관련 기술을 콘트롤 할 수 있는 전담기관이 필요한 부분이다. 수확후관리 관련 기관들은 나름대로 농식품수확후관리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나 시너지를 내는 데는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산발적으로 분산, 추진되고 있는 연구에 네트워크 기능을 강화하고, 이미 개발된 기술의 보급 및 지도 등의 창구가 일원화돼야 수확후관리기술분야의 발전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특히 농식품 수확후관리분야를 전담하는 기구가 설치돼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및 기술개발의 연계가 강화될 수 있다. 정부 및 공공기관에 산재해 있는 비효율적 조직을 일원화할 경우 농산물별 맞춤형 저장, 유통, 부가가치기술 등의 개발은 물론 소비자 지향 농산물 공급, 농산물 수출확대 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2의 농산물 생산’이라고 일컬어지는 농식품 수확후관리분야의 일관된 관리가 연구 및 기술개발의 연계를 강화시킬 수 있고, 이는 결국 소비자와 농업인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