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에 신음하던 대형선망업계에서 첫 도산업체가 발생, 전체 선망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전반적인 어획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도산사례가 발생하면서 은행 등에서 부채상환압박이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대형선망업계에서 지속적으로 감척을 희망해왔다는 점을 들며 정부의 예산투입 없이 자연적인 구조조정이 가능하지 않겠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들의 지적에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선망업계가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자연적인 구조조정 과정에서 이같은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선망업계의 존립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

대형선망어업은 선단들의 노후화가 가장 심각하게 진행된 업종으로 신조선은 단 한척도 없다. 이 때문에 선원복지공간은 부족하고 에너지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대형선망어선이 생산한 수산물을 소화시킬 시장이 부산공동어시장 밖에 없는 터라 현재 3척인 운반선을 줄일 수가 없으며 이는 곧 대형선망어선이 제주 해역이나 서해해역으로 조업시 비용이 급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수산자원이 감소하는 가운데 어선의 어획기술은 발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선단의 수가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도산으로 자연감척이 가능하다해서 별도의 구조조정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방치될 경우 국내 고등어 생산기반이 휘청거릴 수 있다. 더불어 정부의 무관심과 방치속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연근해어업 대표주자이자 ‘바다위의 삼성’이라고 불리는 대형선망업계가 무너질 경우, 어업인의 재투자 의지는 더욱 약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번 선사도산을 계기로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선망업계 경쟁력 강화 로드맵을 마련해야한다. 단순히 선망업계의 경영난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고등어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대책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