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자재·데이터 표준화 '미흡'
원격제어 기술·빅데이터 수집 한계 문제…농가 불편 초래

▲ 농촌진흥청은 2세대 스마트팜 구축을 위해 스마트팜 테스트베드를 운영하고 관련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팜 기술은 현재 진행형이다. 정부와 관련 기업은 원격 수동제어 기술이 적용돼 노동력을 절감시키는 1세대 스마트팜을 보급하면서 클라우드와 복합환경제어 기술로 작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2세대 스마트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 스마트팜 농가들은 대부분 1세대에 머물고 있고, 스마트팜 기기 조작의 어려움 등 현장 애로사항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팜 자재 인증제도의 부재와 표준화 문제, 빅데이터 수집의 어려움 등이 스마트팜 기술의 보급화와 고도화를 방해하는 요소로 거론되고 있다.

이에 1세대 스마트팜 보급화‧고도화의 방해요인을 진단하고, 2세대 스마트팜 기술 개발의 현황을 파악해본다. <편집자 주>

 

<上>스마트팜의 보급화‧고도화, 방해요인이 무엇인가

<下>2세대 스마트팜 기술로 ‘처방 농업’ 실현해야

 

# 기술 실익 낮고 표준화도 안돼

1세대 스마트팜은 정말 ‘스마트’할까. 현장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정부의 지원을 받아 1세대 스마트팜을 구축한 농가들도 원격제어 기술의 한계 등 예상치 못한 애로사항을 겪으며 한계를 인식하고 있다.

1세대 스마트팜은 주로 원격제어 기술을 활용해 농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농업인은 이 기술을 통해 센서와 영상으로 농장을 관리하고 스마트폰으로 온실장치를 제어한다. 그러나 그 외에는 큰 이점이 없다는 게 농가의 입장이다.

원격제어 기술을 이용하려면 농장에 인터넷이 설치돼 있어야 한다. 비닐하우스 근처에 인터넷 설치가 어렵거나 아예 불가능한 경우 원격제어 기술은 무용지물이 된다. 또한 휴대폰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익숙치 않은 농업인들은 조작 실수로 제어기기를 오작동 시키는 경우도 있다. 기기 자체의 결함으로 오작동이 일어나 작물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업체는 농업인의 조작 미숙 탓이라며 배상을 거부한 사례도 있다. 이 같은 경우 스마트팜 기기 신호의 전달‧작동 로그를 살펴보면 과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를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장치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아울러 스마트팜 자재 인증제도의 부재와 표준화 문제도 스마트팜 농가의 원성을 사고 있다. 스마트팜 자재의 인증 제도가 마련되지 않아 제품 간 품질 편차가 심하고 표준화가 돼 있지 않아 호환성이 매우 떨어지고 있다는 비판에서다. 스마트팜 제품의 교체 및 A/S가 필요할 때 처음 제품을 구입한 업체에 의지하거나 호환이 되지 않는 똑같은 제품을 2개씩 구매하는 등의 불편을 겪는 농가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 농진청의 스마트팜 테스트베드에 전시된 접속단자 표준연결 모형

# 데이터 표준화 시급

또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데이터 표준화’이다.

데이터 표준화란 수집되는 데이터의 포맷을 표준화하는 작업이다. 정부와 기업 등이 수집하는 데이터 항목과 포맷이 달라 이를 통합·통일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이는 2세대 스마트팜의 관건인 빅데이터의 활용·분석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방식도 지적된다. 줄자측정과 수기입력으로 작물과 잎의 크기, 색태 등의 생육 정보를 수집하고 있어 데이터 수집이 더딘 만큼 이를 개선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딥러닝 기반 생육량 정보 계측 연구’ 등을 추진해 카메라와 영상장비로 작물생육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스마트팜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이현동 농진청 농업과학관 연구관은 “데이터 표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며 “데이터 표준안이 마련되면 통일된 요소의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고 딥러닝 기술이 완성되면 작물생육 정보의 계측 소요시간이 줄고 정확도도 높아질 것이다”며 기대를 표했다.

# 스마트팜 자재 표준화 사업 추진… 사전 인증제 도입도

정부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공감하고 각 관계부처와 적극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농진청은 2016년 1세대 시설원예 스마트팜 자재 중 25종을 단체표준으로 등록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지난해부터 스마트팜 ICT(정보통신기술)부품 및 장비 단체‧국가‧국제 표준화 사업을 추진해 지난해 국가표준 12종, 국제표준 3종을 등록했고 2021년까지 평균 20~30종의 부품의 단체‧국가‧국제 표준을 등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마트 기자재 검·인증을 위한 스마트 기자재 사전 인증제에 도입을 위해서도 표준화 사업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스마트 기자재 사전 인증제도 도입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며 “스마트 기자재의 표준안이 마련되면 이를 토대로 사전 인증제 도입을 논의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