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사회 특성 결합된 대안 필요한 시점"
청년농업인 정책토론회

청년층의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젊은 디지털세대에 맞는 농업 유인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현권·설훈·위성곤·홍문표·김종회 의원, 한국청년농업인연합회, 농촌진흥청 공동주최로 지난 6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청년농업인 정책토론회 ‘청년일자리, 청년농업인이 함께 만들어 가겠습니다’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최병문 한국청년농업인중앙연합회 회장은 “정부에서 청년층의 농촌유입과 정착을 촉진하기 위해 생활보조비나 창업지원금을 지원하고 교육과 컨설팅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제도는 실상 청년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최 회장은 “지금의 청년세대는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디지털 문화와 함께 성장해왔다”며 “따라서 청년농업인은 물론 농업·농촌에 관심을 갖는 도시 청년들 역시 그에 따른 지원과 교육도 디지털세대의 특성에 맞는 첨단 교육과 첨단 기술을 원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청년농업인들이 원하는 것은 과거 세대의 지원방식과 농업기술이 아닌 네덜란드와 경쟁하고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지원제도와 프로그램의 과감한 혁신”이라며 “청년농업인들은 디지털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농정 혁신정책을 따라 미래로 나아갈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관응 디지털인재경영연구소 대표도 정책제언을 통해 “농업·농촌부문의 청년일자리를 확대하고 이들의 창업을 권장하려면 디지털 세대로 알려진 이들의 특성과 이들이 성장해온 디지털 사회의 특성이 결합된 대안이 필요하다”며 “그렇지 않고서는 청년계층의 농업·농촌으로의 유입은 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날 김현권 의원(더불어민주, 비례)은 환영사를 통해 “농산업분야 창출가능한 일자리는 2030년까지 약 116만명으로 전망되고 특히 농산업 고용 시장이 전체 산업에서 17%의 비중을 갖는 만큼 농산업 고용 정책 방향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청년 고용 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을 포함한 모든 관계자들이 청년들이 농업분야에 지원할 수 있는 환경조성과 혁신적인 지원정책 방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