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국회에서 전국 150개 시군의 청년농업인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농업·농촌분야의 청년 일자리 정책 토론회’는 농업·농촌의 심각한 인력난을 고려해 볼 때 의미있는 행사로 받아들여진다.

농업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이 지속가능한 농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신규 인력유입, 특히 청년농업인들의 농업 참여는 그만큼 절실한 실정이다.

최근 20년 동안 농가수는 150만호에서 109만호로 무려 27.5%나 줄어들었고, 같은 기간 농가인구는 485만명에서 257만명으로 반토막났다. 이 같은 감소추세라면 향후 10년내에는 96만호, 199만명까지 감소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농업인력의 고령화 역시 심각한 상황이다. 전체 농가수 가운데 65세 이상 1인 농가수는 13%인 14만3565호, 65세 이상 부부 농가수는 30%인 32만6682호 등 65세 이상 농가는 전체의 절반을 훌쩍 뛰어넘었다. 그도 그럴것이 출생아수의 감소와 젊은 층의 이탈 등으로 50대 미만층의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농업인력의 고령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청년농업인들의 농업·농촌분야로의 진입을 촉진시켜야 한다. 청년들이 농업·농촌분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고, 연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농산업 분야의 인력창출규모는 2023년까지 약 116만명에 달하고, 농산업 고용시장이 전체 산업에서 17%의 비중을 가진 만큼 농산업 고용 정책의 방향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청년 고용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

청년들이 농업분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고, 농지구입에 따른 자금부족, 정착할 주거, 영농기술 등 청년농업인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해줘야 한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난 청년농업인들이 디지털특성에 맞는 첨단교육과 첨단기술을 제공하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실제,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청년농업인들은 세계최고의 기술과 경험을 농업에 접목해 미국, 네덜란드 등 세계농업과 경쟁해야 한다며 최첨단농업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농업정책 및 기술의 디지털화를 비롯해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한 국가비전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아젠다 설정을 분명히 해 줄 것을 요청하며, 지금이 농업·농촌을 살릴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청년농업인들에게 맞는 농업정책, 세계1등이 되기 위한 농업기술이 청년농업인들을 농업·농촌에 끌어들일 수 있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담보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