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산성 확보 '관건'
선도 국가제품과 수출 경쟁력 확보 어려움…인지도 높여야

스마트팜 플랜트의 국내외 수요가 늘고 있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팜의 세계시장 규모는 211조6100억원(1970억 달러), 국내시장 규모는 4조1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약 13.8%, 14.2%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내수시장과 함께 국외시장으로도 진출하려는 시설원예 분야 스마트팜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사업 초기 단계에서 겪는 예기치 못한 문제들로 사업진척이 늦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장에서 말하는 스마트 온실 자재 및 기술 수출에 따른 애로사항을 살펴보고 해결 방안을 진단해본다.

#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어려워

 스마트팜 업체 관계자는 국제 시장에서 네덜란드 등 선도 스마트팜 국가 제품과의 경쟁이 국내보다 더 치열한 점을 지적하며 수출 경쟁력 확보에 따른 어려움을 성토했다.

현재 국내 스마트팜 기술 수준은 미국, 네덜란드 등 최고 기술 보유국과 견주었을 때 약 70% 수준이라는 게 정론이다. 또한 이런 선도 국가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스마트팜 수출 외교를 주도해 이미 국제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 국내 업계는 스마트팜 기기의 단품 수출이 아닌 수출 대상국이 선호하는 작물의 최적 생육 모델 제공·기술 이전 등을 패키지로 묶어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국내 스마트팜 기술이 영세 규모의 비닐 온실에 적합한 형태로 발전한 점에 주력해 이와 비슷한 여건을 갖춘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사업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작물의 최적 생육 모델 구축 등에 관한 연구와 데이터 구축은 진행 중에 있고, 기술은 있지만 자금과 국외 인적 네트워크를 확보하지 못한 중·소기업이 많아 국내 스마트팜 기업이 수출 경쟁력을 제고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수출 사전·사후 모두 고려해야

또한 수출 사후관리를 통해 채산성을 증진·유지하는 일도 관건이다.

스마트팜 플랜트를 수출하는 한 업체 관계자는 철저한 수출 후보지 현황 파악 및 스마트팜 수요 조사를 통해 수출 사전문제에 대비했지만 정작 사후 문제를 해결 못해 낭패를 보기도 했다.

이 업체는 후보지의 토지·기후·환경 정보와 국가 주도 스마트팜 진흥 사업 추진 여부, 인프라 수준 등을 검토한 결과 카자흐스탄을 수출국으로 선정, 2015년부터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스마트팜 플랜트 수출을 추진했다.

그러나 사업 초기 높은 작물 수확량이란 성과를 얻었지만 국내 인력의 해외 파견 등에 따른 비용이 점점 높아져 인력을 철수해야 하는 상황에까지 다다르게 됐다.

또한 비용 문제로 전문 인력이 철수하자 전문적인 영농 지식과 스마트팜 운영 노하우가 부족한 현지인의 운영으로 스마트팜의 작물 수확량이 크게 하락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이처럼 수출을 위한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했더라도 스마트팜 운영 과정에 있어 일어날 수 있는 사후 문제를 대비하지 못하고 채산성을 증진·유지하지 못한다면 지속가능한 수출 사업을 진행할 수 없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 산업계 자체적 노력과 정부 지원 맞물려야

정부는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요구를 인지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국내 기업과 해외 바이어를 잇는 박람회 개최 및 참가비, 수출후보국 정보 등을 지원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지능형 스마트팜 플랫폼 수출연구사업단’을 발족하고 국내 스마트팜 기기·기술·시스템의 통합적 수출을 위한 연구과제를 진행토록 했지만 초기 단계라 추후 성과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안용주 한국농업시설협회장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국내 선진 기업이 조금씩 국내 스마트팜 기기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쌓고 있다”며 “추후 산업계의 자체적인 노력과 정부 지원이 맞물리면 스마트팜을 활용한 수출 품목 확대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