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마트팜 육성을 위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었다. 농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이 우리 농업의 경쟁력 제고와 청년 유입을 촉진할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와 관련 지난 1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다양한 지원책을 담은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는 오는 2022년까지 전국 4개 지역에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기로 했다.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R&D)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다. 내년부터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 4개소를 지정하고, 장기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2022년까지 6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 농업인 등이 막대한 초기 시설 투자 없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도 스마트팜 창업이 가능하도록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도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팜 시설원예 규모를 현재 4010ha에서 7000ha로 늘리고, 축사도 790호에서 5750호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인구 감소와 농업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만큼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스마트 팜 확산을 더 이상 늦추면 안될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이번 대책은 사업 초기 단계에 진입한 스마트 팜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조성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 팜은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일부 성공사례가 나오기 시작했지만 초기 투자 비용에 대한 부담이 여전하고, 관련 전문가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 스마트 팜 기기에 대한 품질문제와 A/S 등의 현안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와 함께 기기 공급회사마다 규격과 기능이 달라 이를 규격화, 표준화 하는 문제도 풀어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있어 핵심인 빅데이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으로 긴급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젊은 인력을 적극적으로 유입하고, 현재 스마트 팜을 도입한 농가들이 제기하고 있는 해결방안 등을 적극 검토하는 등 스마트팜 생태계를 하루속히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