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매몰지 인근 오염관리 신경써야
예방적 살처분·잔존 바이러스 제거 '신의 한 수'

국내 돼지에서 지난달 26일 처음으로 구제역 A형 바이러스가 발생했지만 민·관의 적극적인 협력과 구제역 긴급백신의 신속한 접종으로 피해를 최소화 했다는 현장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번 구제역은 소독 등 철저한 차단방역과 정부의 백신 확보 노력, 살처분·백신 접종 등 문제해결을 위한 농가의 대응이 빛을 발하면서 향후 구제역, AI(조류인플루엔자) 등 악성가축질병 발생시 참고할 만한 사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전국 돼지 A형 구제역 긴급백신 접종
경기 김포시 대곶면에 위치한 돼지농장에서 지난달 26일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정밀검사 결과 혈청형 A형으로 확진된 이후 정부는 발생지역인 경기 돼지 204만마리, 인천 5만마리와 역학관련 차량의 농가 방문 등을 이유로 충남지역 전농가 1235호, 227만6000마리에 대해 신속하게 ‘O+A’형 예방백신을 접종했다.

특히 발생 당시 국내 보유중이던 A형 구제역 백신 881만마리 중 500만마리 분은 돼지 A형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 추경으로 긴급 비축한 물량이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9일 브리핑에서 ‘전국 돼지 단계별 백신접종 계획’을 수립해 차질없이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0일까지 강원·충북·전북·경북지역과 세종·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 돼지 백신공급 및 접종(327만마리)을 마무리했고, 이달 20~21일 경남, 전남, 제주지역 돼지 백신공급 및 접종 223만마리분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전국 모든 돼지에 대한 1차 접종은 당초 이달 말에서 앞당겨졌다.
 
# 예방적 살처분 피해 최소화
농식품부에 따르면 김포 대곶면과 하성면의 발생농가를 포함해 예방적 살처분으로 돼지 1만1726마리가 살처분 뒤 매몰 처리됐다.

돼지에서 처음으로 구제역 A형 바이러스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사례와 달리 효과적인 예방적 살처분 등으로 피해를 최소화한 것이다.

실제 2010년 1월 경기 포천·연천지역을 시작으로 그해 4월 인천·경기·충북·충남지역은 물론 같은 해 11월 경북 안동에 이르기까지 잇따라 발생한 구제역으로 수조원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다.

예방적 살처분과 함께 구제역 잔존바이러스 제거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도 구제역 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31일 민·관·군 합동으로 구성된 ‘특별방역팀’을 구성, 김포시 전지역 우제류 293호와 주변지역에 대한 소독 총력전을 펼쳤다. 농식품부·경기도·검역본부·김포시·농협·가축위생방역본부 등 방역관련기관 소속 인력과 장비가 총동원돼 500m, 3km, 10km 방역대 내와 김포시 전 축산농가를 빠짐없이 일제소독한 것이 효과를 본 것이다.

또한 해병대 2사단 소속 군제독차량까지 지원돼 농장입구 진입로와 주변도로에 대한 소독도 강화했다.

대한한돈협회는 돼지농장 특별소독캠페인을 지난 10~15일 전국으로 확대하는데 적극 나서기도 했다.

김계현 한돈협회 충남예산지부장은 “돼지에서 구제역 A형이 처음 발생했지만 발 빠르게 살처분을 잘 했고 ‘O+A' 2가 백신을 공급받아 예산의 경우 하루 반만에 접종을 완료했다”며 “특히 차단방역이 잘 이뤄졌고 사료차량 등을 GPS로 역추적해 이동제한시키면서 방역이 성공적으로 이뤄진 것 같다”고 말했다.

김대균 농식품부 구제역방역과장은 “한돈협회가 나서서 농장별 담당자를 지정하고 매일 청소·소독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면서 구제역 백신 전국 접종만 조기에 달성하면 이번 구제역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 매몰지 관리·보상 등 신경써야
김포시는 지난 2일 가축 매몰지 인근 150m 이내 지하수 중 3곳을 수질 검사한 결과 염소이온,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총 대장균 등 4개 항목 중 지하수 1곳에서 질산성 질소가 먹는 물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는 보통 가축 매몰지에서 나온 침출수로 지하수가 오염되면 위 4개 항목이 모두 기준치를 초과한다는 점을 들어 침출수로 인한 오염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가축 매몰지 주변 지하수 수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예방적 살처분 농가나 이동제한이 추가적으로 길어지면서 현장 농가의 어려움도 커진 것이 사실인 만큼 신속한 자금 지원과 보상이 뒤따라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임청수 한돈협회 김포 전 지부장은 “김포지역 발생 농가는 민통선 내부라는 특성이 있어 사실 외부와의 접촉이 거의 없고 과거 2010년 구제역 당시에도 발생이 없었던 곳”이라면서 “구제역 발생 인근 농가들은 자비를 들이거나 동약회사의 협조를 받아 매일 4~5kg씩 소독약으로 오전, 낮, 오후 하루 3회씩 농장 내외부를 철저히 소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추가적인 예산을 확보해 예방적 살처분 농가에 대한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이나 보상 등을 서둘러 줬으면 하고 이동통제 등으로 가축분뇨 처리에 어려움이 큰 만큼 협회는 물론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과 지원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