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한 감축수단 개발·농가단위 취약성 분석 필요

지구온난화에 대응한 범지구적 협력에 따라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37% 감축안을 목표로 세우고 있는 가운데, 농축산분야 역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연구보고서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을 통해 “농축산식품부문 비에너지 분야 감축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라며 "적응을 위해서는 작목별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농업 관련부문의 온실가스 연평균 배출량은 약 3000만 톤CO2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 축산업을 통해 배출되는 메탄과 농경지토양을 통해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가축분뇨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연간 약 860만 톤CO2정도로 농축산식품부문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벼 재배에 의한 배출량 약 760만 톤CO2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비에너지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민 농경연 연구위원은 “식량 공급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농축산식품분야의 경우 기후변화 심화로 직면하게 될 위험과 식량 공급시스템의 취약성을 고려해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잠재수량, 생산함수의 내성, 최적 투입재량 등 작목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채소류의 경우 품종개발과 같은 연구개발 보다는 농가의 생산비 감축과 연관된 중간재 적정 활용기술의 개발이나 농가의 정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과학적으로 감축결과를 증명할 수 있는 투명한 감축 수단 개발이 시급하며, 적응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인벤토리를 구체화하고 농가 단위의 취약성 분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적응과 감축, 그리고 생산성 유지라는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분석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