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양돈연구회, 양돈연구포럼…농가 수행 매뉴얼 필요

최근 동물복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산업동물 내지는 경제동물로 대표되는 양돈의 경우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업계 동물복지 대응 TF(태스크포스)를 조속히 구축·가동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는 현재 전개되는 동물복지 논의나 정책 등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동물복지가 국내 양돈 산업 발전에 적지 않은 규제로 작용할 것이란 인식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양돈연구회(회장 권동일)는 지난 19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R&BD센터에서 ‘한돈 산업과 동물복지’를 주제로 ‘제13회 양돈연구포럼’<사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안기홍 양돈연구소장은 “동물복지의 경우 정부 주도보다는 민간이 전문가 그룹 등을 통해 주도하고 자조금 등을 활용해 연구하는 것은 물론 TF를 구성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유럽에선 모돈 군사 문제를 해결했고 국내 농가 현실을 볼 때 오히려 육성·비육돈 사육환경이 더 중요하며 이에 더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문조 더불어행복한농장 대표는 “동물복지를 왜 해야 하는가 목적이 분명하다면 농가현실과 소비자 수준 등을 감안하더라도 준비시기가 이미 왔다”며 “현재는 법과 제도만 있고 농가가 수행해야 할 매뉴얼이 제대로 없는데 이를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어 “소비자가 윤리적 소비를 지켜주지 않으면 사실 동물복지 인증은 도전 자체가 힘들다”면서 “기존의 분별력 없는 인증제도는 정리하고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한 이득흔 돼지와 사람 편집국장은 “동물복지 논의나 대응에 있어서 동물복지 사육, 정부 규제, 동물복지 인증제를 각각 구분해 접근해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선 결국 소비자를 생각해야 하고 규제는 타협점을 찾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이병석 대한한돈협회 부장은 “정부의 동물복지형 사육기준 마련(안)을 보면 살충제 계란 파동, 닭 케이지 밀사 등과 달리 돼지는 사실상 억울한 부분이 있다”면서도 “동물복지를 확대하기 위한 가칭 동물복지 축산농장직불금이나 시설자금 등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