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농가 및 어가의 평균소득이 전년에 비해 각각 2.8%, 4,1%씩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3일 발표된 통계청의 ‘2017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가소득은 전년 3720만원에 비해 2.8% 증가한 3824만원, 어가소득은 전년 4707만원에 비해 4.1% 늘어난 4902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가의 평균소득은 2013년 3452만원, 2014년 3459만원, 2015년 3721만원, 2016년 3720만원 등으로 증가폭이 매년 늘어나고 있어 농가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농어민들이 이 같은 수치를 피부로 느낄 수 있는가 하는 점은 또 다른 문제이다. 농가 및 어가의 평균소득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농업 및 어업 소득에 따른 증가률이 아닌 농어업외 소득에 기인한데 따른 것이다.

실제 농가 평균소득 가운데 농업소득은 1005만원으로 전년보다 0.2% 줄어든 반면 음식숙박업 같은 부업을 통해 얻은 농업외 소득 1627만원, 정부 및 가족의 보조금 성격의 이전소득 890만원, 경조수입·사고보상금 같은 일시적 수입인 비경상 소득 302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농업소득은 2015년 1126만원을 기록한 이래 2년 연속 줄어들고 있어 부업이 농가소득을 견인한 셈이다.

어업소득은 전년 2660만원에 비해 0.4% 오른 2669만원으로 나타나 농업과 달리 어업소득이 어가 평균소득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나 어획량 감소에 따른 가격반등 현상이어서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농어가의 평균지출이 다소 줄어든데다 평균부채 역시 감소해 다행스럽기는 하지만 안정적인 소득기반이 서둘러 마련돼야 할 부분이다. 특히 축산농가 소득은 7152만원으로 나타나 농가평균에 비해 1.9배 가량 높지만 논벼 및 채소, 과수농가의 소득은 평균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돼 영농형태별 대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농어가 소득 증가의 주된 요인이 규모화된 전업농어가의 소득 상승, 정부의 공적보조지원으로 인한 이전소득 증가, 소규모 고령농어가의 소득보전대책 등으로 나타난 것은 전업에 대한 회의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다.

정부의 지원이 없어질 경우 통계청이 밝힌 농가소득은 장밋빛에 불과한 만큼 지속가능한 농어업을 유지하는데 걸림돌로 작용될 공산이 크다. 영세고령농어민에게는 복지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겸업 및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수입증대 방안, 경기에 민감하지 않는 농외소득 등 안정적인 소득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이 더욱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