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전문가 의견을 구하는 공청회와 토론회가 활발히 열리고 있다. 그런데 막상 행사에 참석해보면 고견을 전하는 전문가의 목소리가 정부 정책에 얼마나 반영될지 의문이 들 때가 있다.

전문가들 중에도 같은 의문을 품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 중에는 정부의 요청으로 행사에 참석하긴 해도 자신이 연단에 서서 말한 의견이 사업 내용에 반영될 거라 기대하지 않는다고 공공연하게 말하는 이도 있다.

이런 의문은 우려로 바뀌기도 한다. 스마트팜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고 토론을 진행하는 자리에서 실제 사업내용과 방향성을 결정하는 정부 요직의 인사들이 짧은 인사와 연설을 마치고 급히 자리를 뜨는 모습을 볼 때면 그렇다. 현장을 떠난 그들에게 농업인을 포함한 전문가의 목소리가 제대로 전달될지, 또 제대로 전달되려면 얼마만큼의 시간이 소요될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사실 전문가 의견이 정책이나 사업 계획에 반영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건 어느 분야에서나 마찬가지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팜 확산 사업이 현재 초기 단계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전문가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여야 한다.

일례로 농촌진흥청이 추진하는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 사업’은 1세대 스마트온실 모델 구축 분야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분야의 사업이 초기~전반기 단계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스마트팜 ICT(정보통신기술) 부품 표준화 사업’ 등도 지난해나 올해부터 추진되기 시작했다. 

스마트팜 전문가들은 말한다. 첨단 기기는 항상 농업인이 필요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 스마트팜의 초기 비용을 낮춰야 한다. 스마트팜 분야에서 민·관의 적절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스마트팜 확산 사업이 초기단계인 지금이 시작이 반이라는 말의 의미를 되새기고 전문가 의견에 귀 기울일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