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창간 37주년을 기념해 ‘청년들이 꿈꾸는 농업의 미래’란 주제의 기획기사를 마련한 것은 후계농의 원활한 확충이 농업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최근 20년 사이 농업가구는 150만호에서 109만호로 무려 27.5%나 줄어들었고, 같은 기간 농가인구는 485만명에서 257만명으로 주저앉았다. 초고령화 시대로 접어든 농촌과 이로 인한 농업인력 부족은 농업생산기반을 위협할 단계에까지 와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남은 농가인구의 연령분포도를 볼 때 문제의 심각성은 더욱 크다. 전체 농가수 가운데 65세 이상 1인 농가수는 13%인 14만3565호, 65세 이상 부부 농가수는 30%인 32만6682호 등 65세 이상 농가는 전체의 절반을 훌쩍 넘는다. 이대로 가다가는 오는 2027년에는 농가인구가 200만명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농업을 이어줄 후계농, 즉 청년들의 농촌유입이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청년들이 농업·농촌분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고, 농업·농촌에 진입한 청년들이 영농활동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청년들이 농업분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고, 농지구입에 따른 자금부족, 정착할 주거문제, 영농기술 등의 제공이 그것이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난 청년농업인들에게는 디지털문화에 맞는 첨단교육과 첨단기술을 제공하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

기성농업인들과의 갈등을 해소하는 일도 중요하다. 빠른 학습능력과 첨단영농정보 습득 등을 통해 세계와의 경쟁을 꿈꾸는 청년농업인들에게 기성농업인들의 영농방식은 구태로 비춰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행을 고집하고, 나아가 관행을 강요하는 일은 청년농업인들에게 과거의 굴레를 씌우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는 농업에 거는 기대를 조기에 꺾는 요인으로 청년농업인들의 농촌이탈사태를 유발할 수 있다.

2000년 9만여명에 달했던 40세 미만 청년농업인이 2010년 3만3000여명, 2015년 1만4000여명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현상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된다. 청년들을 농촌으로 유입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유입된 청년들이 이탈하는 것을 막는 것 역시 중요하다.

청년농업인들의 농촌이탈 이유가 각기 다르겠지만 각각의 이유를 최소화 시켜주는 것이 시급하다. 농업인력 확보가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미 영농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농업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일이 청년농업인들을 유입하는 일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