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시장규모 확대…기반조성 역할해야
민간, 분석·기획…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스마트팜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는 작물 생육·환경데이터 등의 수집·공유를 통한 ‘시장 기반 조성자’ 역할을 수행하고 민간은 공유된 데이터를 분석·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큐레이터’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중론이 이어지고 있다.

스마트팜 업계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월 17일 서울 마곡 R&D(연구개발) 단지에서 개최된 ‘2018 혁신성장 보고대회’에서 “민간은 혁신 성장의 주역이고 정부는 민간 역량이 집중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 기반 조성에 주력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이같이 입을 모았다.

최근 스마트팜 확산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는 가운데 사업 초기단계부터 민·관의 적절한 역할분담이 이뤄져야 추후 성과를 담보할 수 있다는 의견은 공청회나 토론회 등에서 여러번 제기돼왔다.

이는 이제까지 보조금·기기·시설 지원 등을 통해 정부 주도로 시행된 스마트팜 확산 사업이 민간 주도로 이어지지 못할 경우 지속가능성이 저해될 거란 우려에서다.

이에 스마트팜 산업 발전을 위한 민·관의 역할과 개선과제를 알아봤다.

▲ ICT(정보통신기술) 기기가 도입된 스마트온실 내부 전경.

# 정부, 시장 기반 조성 위해 데이터 수집·관리해야

정부는 큰 비용과 인력이 소요되는 작물 및 가축 생육·환경 데이터 수집과 관리에 집중해 ‘시장 기반 조성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게 스마트팜 업계의 견해다.

민간이 스마트팜 산업 발전을 주도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가 ‘영세한 시장 규모’인 만큼 정부는 시장 규모 확대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팜 관련 부처와 권역별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 등이 전국 단위 농가 데이터 수집·공개에 주력해 업체가 이를 활용토록 하는 방안이 '범부처 스마트팜 사업 공청회' 등에서 제시됐다.

이는 대부분의 스마트팜 업체 규모가 영세해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양의 한계가 있고 수집 과정에서 소요되는 인건비 등의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업체도 많지 않은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특히 중요한 건 기초데이터(Raw data)의 공개라고 한 스마트팜 업체 관계자는 말했다. 그는 “정부가 지금까지 공개해 온 스마트팜 관련 데이터는 주로 기초 데이터를 분석해 만든 ‘보고서’ 형태의 자료이다”며 “기초데이터를 분석해 하나의 ‘답’을 제시한 보고서 형태의 자료는 그 답을 찾는 소수 업체를 제외하곤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엑셀 형식 등의 기초데이터를 공개하면 업체가 이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의 소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밖에도 스마트팜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공개된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업체와 농가에게 지속적으로 받아 데이터의 질을 높이고 ‘데이터 속성 가이드’를 마련해 속성값과 포맷이 통일된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민간, 큐레이터 역할 통해 비즈니스 모델 개발 주력해야

이처럼 정부가 스마트팜 관련 기초데이터를 공개하면 민간 업체는 이를 분석·기획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빅데이터 큐레이터’ 역할을 더욱 활발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박흔동 이지팜 팜클라우드사업본부 본부장은 “미술관 큐레이터가 안목을 바탕으로 기획전을 여는 것처럼 민간업체도 스마트팜 관련 데이터를 분석·기획해 기존 비즈니스에 활용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례로 가축 생육·환경 데이터는 양돈농가관리 프로그램에, 밭작물 생육 데이터는 밭작물 생산성 및 수급 예측 프로그램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새로운 비즈니즈 모델로는 프로그램 웹 호스팅 서비스, 가축질병 예방 컨설팅 및 스마트팜 플랜트 컨설팅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스마트팜 업계가 큐레이터로서 제공한 기기와 서비스 질을 증진시켜 신뢰성을 확보해야 스마트팜 전·후방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거란 의견도 있다. 김기환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서기관은 “기자재 및 컨설팅 기업 등은 표준화와 검·인증을 통해 기기 간 호환성과 컨설팅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다”며 “스마트팜 업계가 자체적으로 표준화 및 검·인증 절차에 따라 제품 신뢰도를 제고한다면 스마트팜 전·후방 산업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