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업계, 상당수 수입업체 영세·시설 미흡…품질관리 능력 부족
식품안전 '위협'…무분별한 수입에 국내 낙농산업 악영향 불보듯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수입 냉동치즈의 해동판매를 수입판매업체까지 확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식품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식약처는 조만간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를 통해 냉동치즈를 수입하는 수입판매업자가 일정 요건을 준수하면 냉동제품을 해동해 냉장제품으로 판매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낙농육우협회는 이에 지난달 말 성명서를 통해 냉동제품의 해동 및 냉장 유통은 품질, 안전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축산물가공업을 운영하지 않고 HACCP(안전관리인증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수입판매업체에 해동판매를 허용한다는 것은 자칫 식품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행 축산물위생관리법 상에는 식품안전을 고려, 냉동치즈를 수입해 해동 판매할 수 있는 업체는 축산물가공업자 중 유가공업자로 한정하고 있다. 유가공업자의 경우 HACCP 의무화를 통해 해동관리기준, 위생관리기준, 검사기준 등을 준수해 치즈 등 유가공제품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반면 수입판매업자의 경우 HACCP이 의무사항이 아닌 상황에서 식약처가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한다 해도 식품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 낙육협의 설명이다.

특히 수입국의 제조일자와 상관없이 해동시점마다 유통기한을 설정해야 하지만 상당수 수입판매업체가 영세하거나 제대로 된 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아 품질관리 능력이 없다. 여기에 부적절한 냉동치즈 해동에 의해 비정상적인 숙성이나 변질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특히 이같은 식약처의 방침이 현실화될 경우 수입판매업체가 무려 4만곳이 넘는 상황에서 무분별한 냉동치즈 수입이 성행, 국내 낙농산업에도 악영향이 예상되고 있다. 실제로 미국, EU, 호주, 뉴질랜드와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하면서 2010년 대비 2016년 치즈수입이 59%나 증가했다. 반면 국산치즈 자급률은 4% 수준에 불과하고 FTA로 인해 국산우유 자급률이 지난해 50.3%까지 하락한 가운데 치즈 등 국산유제품 시장 확대를 위해 낙농업계가 돌파구를 찾고 있는 시점에서 냉동치즈 수입 확대는 그야말로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낙육협은 수입판매업체의 냉동치즈 해동판매 허용은 식품 안전과 국민건강을 책임지는 식약처의 정책이라고는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낙육협 관계자는 “식약처가 수입업체에 대한 규제완화를 명분으로 식품안전과 국민건강을 내 팽개친다면 존재의 이유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전국 낙농가들은 수입판매업체의 냉동치즈 해동판매 허용방침을 즉각 철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