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 방향으로 나아가 농업경쟁력 강화에 집중해야
지속성장·경영 중요…단계적 투자·체계적 지원정책 필요

▲ 지난 4일 열린 ‘청년벤처농의 사례로 본 농촌경쟁력 강화를 위한 육성방안’ 포럼에서 패널토론 시간에 서윤정 농어촌벤처포럼 공동의장이 발언하고 있다.

청년벤처농 육성을 통해 농업·농촌경쟁력을 강화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구교영 이암허브 대표는 지난 4일 (사)벤처기업협회 농어촌벤처포럼 주최로 aT센터에서 열린 ‘청년벤처농의 사례로 본 농촌경쟁력 강화를 위한 육성방안’에서 이 같이 말했다.

구 대표는 “현재는 농어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달라짐에 따라 농촌의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농업도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농업경쟁력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2015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농산업 분야 창업 중 귀농은 1만1959가구로 나타났으며 평균 연령은 54세로 고령화의 심각성을 알렸다. 재배작물은 채소, 과수, 특용 등이 주요작물로 조사됐다. 또한 ‘농림어업 농업법인조사 운영주체 및 사업유형별 법인수’ 자료를 살펴보면 국내 농업법인 수는 생산부문의 비중이 가장 높지만 가공, 유통분야가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구 대표는 “귀농 연령의 고령화가 뚜렷하고 생산 분야 이외의 서비스 분야 성장이 이뤄지고 있으며 타 산업분야 대비 청년들의 농산업 창업 성장률이 높다”며 “농업의 변화에 따라 농업 서비스나 위탁영농 등 새로운 유망 분야 지원 정책 도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업은 최종적으로 지역에 안착하게 되기 때문에 지자체 우수 사례를 참고해 지역별 특화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영농교육 단계부터 창설단계까지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며 청년벤처농 스스로 사업모형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제발표 이후 이어진 전문가 패널토론에서 허철무 호서대 벤처대학원 교수는 “최근 지역 귀농귀촌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살펴보면 2030세대와 4050세대를 구분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며 “맞춤형 교육 강화를 통해 저마다 청년벤처농 집중 양성에 나서는 것은 고무적”이라고 평했다.

하지만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의 경우 귀농을 하는 청년층의 나이대를 고려해 현재 마지막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 나이를 만 39세까지가 아니라 만 49세까지 늘려야 하는 것을 신중하게 검토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들이나 영농조합법인 등이 목을 매고 있는 인증 부분에 관해서 수출 지향 품목에 대해서는 인증이 필요한 부분이 사실이지만, 내수 품목에 대해서는 꼭 많은 인증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또한 “귀농·귀촌 시 특용작물 하나가 높은 가격을 받게 되면 대다수가 그 쪽으로 뛰어들게 되는데 자칫 잘못하다 공급과잉으로 인해 농산물 가격하락이 일어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청년벤처농들이 작물 선택 시 조금 더 고민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벤처농의 육성도 필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지속성장과 지속경영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를 위해 처음부터 규모화를 갖춘 출발보다는 실질적인 규모로 단계적인 투자 및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상학 고벤처포럼 부회장은 “최근 창업에 대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 중에 농촌 중심의 지원정책은 효과나 실효성이 다소 낮다고 생각한다”며 “혁신을 만들어내는 3대 요소인 지식, 사람, 소통을 중심으로 볼 때 현재의 상황이 과연 농어촌 벤처기업의 혁신 창출이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한편 29회째를 맞이한 이번 포럼에는 농업벤처기업과 스타트업기업 관계자, 창업관련 유관기관 관계자 등 약 80여명이 참여해 청년벤처농 육성을 위한 지원청책 및 육성방안에 대한 열띤 논의를 가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