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농업 부정적 인식 개선…융합지식 갖춘 인재 양성
연구기관, 농업분야 분류…산업분야 부처 예산 확보 어려워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농업 외 정보통신, 기계공학 등을 융·복합한 기술로 환경을 통제해 작물 생산성 증대, 노동력 절감 등을 이루는 스마트팜이 미래농업을 이끌 모델로 주목 받고 있다. 이에 학계와 연구계도 스마트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융합지식을 갖춘 인재양성, 전문연구 실시에 집중하고 있다.

대학은 스마트팜 융합학과 개설 등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스마트팜 관련 교육에 참여토록 장려하고 있고, 농·산업분야 연구기관은 여러 분야의 기술을 더해 공동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비농업계 전공 학생들의 스마트팜 관련 교육 참여율이 높지 않고 산업통상자원부 등 산업분야 정부기관으로부터 농업분야로 분류된 스마트팜 관련 연구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등 개선과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스마트팜의 발전을 위한 학계와 연구계의 노력과 현안 등을 알아본다.

▲ 스마트팜 내부 전경. 센서와 양액 투여를 위한 기자재 등이 설치돼 있다.

# 학계, 융합지식 갖춘 인재 양성

최근 농업 외에도 다양한 전공의 대학에서 스마트팜에 도입되는 융·복합 기술지식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관련 연구 및 교육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이정훈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의학분야 마이크로 센서를 주로 개발하다 작물을 대상으로도 같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단 걸 깨닫고 지난해 작물 정보 측정센서를 개발했다. 이후 한국농수산대학과 협업해 센서를 보급하고 스마트팜 관련 연구를 추진 중에 있다.

이 교수는 “스마트팜은 다른 분야 기술이 융·복합돼 있어 농업 외 기계공학, 방송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교수와 학생들이 스마트팜에 관심을 갖고 새로운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며 “우리 학부 학생들에게도 스마트팜과 센서, 기자재에 대한 연구에 참여해 융합지식을 갖추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팜 융합전공을 개설한 대학도 있다. 경북대 컴퓨터·농업토목·생물산업공학부는 스마트팜의 융합적 지식을 겸비한 인재양성을 위해 2016년부터 스마트팜공학 융합전공을 운영해오고 있다.

하유신 경북대 농업토목·생물산업공학부 부교수는 “현재 스마트팜공학 융합전공 참여 학생은 21명으로 학기마다 조금씩 늘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 대부분의 학생이 시설원예, 농학을 전공한 학생이고 다른 분야 전공학생은 소수이다”고 밝혔다.

이어 하 부교수는 “비농업계 전공 학생들이 스마트팜에 관심을 두긴 해도 농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취업 문제 등을 우려해 스마트팜 관련 연구나 교육 참여를 망설이고 있다”며 “스마트팜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과 발전가능성이 제시된다면 비농업계 학생들의 참여율도 올라가고 융합지식을 갖춘 더 많은 후학을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 연구기관, 타 분야 기관과 공동연구 활발

농업 분야 연구기관과 전자통신·산업 분야 등의 연구기관은 스마트팜에 도입되는 다양한 융·복합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융합연구단을 조직하거나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5개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스마트팜 솔루션(SFS) 융합연구단은 2015년에 조직돼 현재까지 여러 정부 및 연구기관과 활발히 공동연구를 추진해 오고 있으며 지난 6월 4일에는 ‘스마트팜 솔루션 융합연구 기술박람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농촌진흥청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딥러닝 기반 생육량 정보 계측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거나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주)씨드림과 스마트팜 개발 업무협약을 맺는 등 스마트팜 기술 개발에 있어 접점이 있는 여러 기관이 분야를 막론하고 스마트팜 관련 공동연구, 협력과제 등을 수행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여러 기관이 협력해 스마트팜 관련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농림축산식품부 외 산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은 농업분야 연구로 분류된 스마트팜보다 스마트카(Smart Car),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등 산업분야 연구에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두고 있어 연구예산 수주에 애로사항이 있다고 연구기관 관계자들은 말했다.

양승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스마트팜에 여러 분야의 기술이 도입되지만 결국 농업분야로 분류돼 다른 산업분야 부처에서 연구 예산을 수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산업분야 부처에서 사업 및 연구의 규모보다 스마트팜의 발전가능성과 중요성에 공감해 지원을 강화하면 각 연구기관의 전문연구도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