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통계청이 농림축산식품부와 공동으로 발표한 지난해 귀농·귀촌 현황에 따르면 젊은 귀농가구와 여성 귀농가구주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거주지를 옮긴 총 인구수 가운데 40세 미만 젊은 층이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여성 가구주 비율도 32.9%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체 귀농가구중 40세 미만 귀농가구 수 비중은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귀농가구 평균 가구원수는 1.55인데 반해 40세미만 귀농가구의 평균 가구원수는 3.6명이고, 가족이 동반 이주하는 특징이 두드러져 농촌인구 유입에 매우 중요한 연령대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 20여년간 농가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여간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중장년층 농업인구 은퇴는 신속히 이뤄지지 않는 반면 신규 농업 인력 진입은 상대적으로 감소해 고령인구의 증가율이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젊은 귀농가구와 여성 귀농가구주의 농업진입은 농업의 질적 향상은 물론 농촌사회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2000년 21.7%에서 2015년 38.4%로 늘어나 농업인력의 질적 감소와 이로 인한 농가소득 감소로 인해 농촌구조의 악순환을 가져왔으나 젊은 귀농인이 증가할수록 선순환구조로 바뀔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2013년 통계작성을 시작한 이래 귀농·귀촌 및 가구원 수가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선 것도 고무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농촌에서 도시로 빠져나가는 인구가 많아 농촌 공동화현상을 우려했던 점에 비춰볼 때 격세지감마저 든다.

농촌으로 유입된 귀농·귀촌 가구주들의 연착륙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농촌에 정착하지 못하고 다시 도시로 빠져나가는 가구가 적지 않은 점을 고려해 볼 때 기왕에 농촌으로 거주지를 옮겨온 귀농·귀촌인을 지키는 일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

청년농 영농정착 지원과 청년귀농 장기교육 도입, 귀농 창업자금 지원개선, 귀농교육 개편 등 귀농·귀촌과 관련된 정부의 지원정책은 그래서 유의미한 것으로 풀이된다. 귀촌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맞춰 청년층에 대한 저변확대와 귀촌희망인을 대상으로 하는 농산업 창업교육 도입도 시의적절한 정책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이 같은 정책의 보완점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귀농·귀촌인의 안정적 정착과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

정부 정책과는 별개로 귀농·귀촌인들을 따뜻하게 품어주는 토착농업인들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귀농·귀촌인을 단순히 외지에서 온 사람이 아닌 농촌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 바라보고, 인정해 주는 문화야 말로 그 어떤 정책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