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농정활동 참여 위한 소통창구 마련을
청년농업인 관련 농업·농촌 정책 한계 여전
사회적 성취·삶의 만족도 교육으로 확대해야

[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 청년농업인과 예비 창농인들에게 아낌없고 현실적인 조언을 해줄 선배 멘토 농업인들 11명이 소개됐다.

“일자리가 없으면 우리가 일자리를 만들면 됩니다. 하지만 농사지을 땅도, 편히 쉴 수 있는 집도 없는 청년들에게 기회가 주어지기는 했나요?”

창농 중심의 청년농업 지원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돌아보고, 실제 현장에서 청년농업인들이 겪는 어려움과 예비 창농인들의 고충을 해결할 정책 제안의 자리가 마련돼 농업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농업·농촌, 특히 청년농업인과 관련한 문제들에 대해 청년의 시각에서 현실과 스스로를 돌아보며 해법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청년농업인연합회, 대안농정대토론회조직위원회, (사)농어업정책포럼, 생생협동조합, (사)국민농업포럼, 슬로푸드문화원, (사)통일농수산이 공동주최하고 브랜드쿡이 주관해 지난 5일 aT센터에서 열린 ‘청년 농업농촌 정책파티:100인의 식탁’에서는 청년농업인, 예비 청년농업인, 농업 관련 종사자 등 농업 분야 진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이 모여 실제 현장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선배들과 농업과 농정에 대해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눴다.

▲ 원형식탁에 둘러앉아 자유롭게 직접 경험한 농업·농촌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해법을 모색한 ‘뻥 뚫리는 농 정책식탁’ 시간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그간 진행된 청년농업 육성 정책의 성과로 젊은 비농업 종사 인구가 창농 등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됐다”고 평가하고 “청년농업인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농정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소통창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충남 홍성군 장곡면의 젊은협업농장의 사례, 완주군 씨앗문화예술협동조합의 사례를 통해 청년농업인 육성과 정착, 이를 위한 노력 등이 소개됐다.

하지만 여전히 청년농업인과 관련한 농업·농촌 정책은 많은 한계를 도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 자본이나 기술이 부족한 청년농업인에게는 안정적인 삶이나 미래를 꿈꾸기에는 현실의 벽이 너무나 높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직업이 단순히 돈벌이 수단이 아니라 사회적 성취와 개인의 성장과도 연결되고 있는 만큼 단순 기술교육에서 벗어나 삶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교육으로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민철 젊은협업농장 이사는 “농촌은 살아가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을 위한 교육의 공간이 돼야 한다”며 “청년들이 농촌에서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농촌 사회의 구성원으로 역할을 찾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자기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영 씨앗문화예술협동조합 대표도 “좋은 일자리의 기준이 정년보장, 높은 급여에서 삶에 대한 기준으로 바뀌면서 농촌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며 “농촌을 청년들이 일하고, 머물고, 어울리며 성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청년농업인들은 자본과 기술, 연고가 없는 소위 ‘3무(三無)’의 젊은이들이 농사를 짓고 싶다는 마음만으로 농촌에 살기에는 주거 등 기본적인 부분조차 해결하기 어렵다고 토로하며 이를 위한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현희 순창귀농귀촌센터 활동가는 “최근 청년농업인을 위한 지원정책이 늘었다고 하는데 실제로 혼자서 귀농하는 청년을 위한 지원제도는 귀촌가구에 대한 지원보다도 부족한 게 현실이다”며 “당장의 성과만을 쫒는 성과위주 정책으로 정작 농촌에서 농사를 짓고 싶은 청년들이 주거, 토지, 생활 등 기본적인 것들조차 해결하지 못한 채 농사를 포기하고,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참석자들은 11개의 원형식탁에서 멘토들과 함께 둘러앉아 직접 경험한 농업·농촌의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렇게 모아진 지역별 청년농 문제 전담조직 마련, 소농을 위한 제도개선, 농촌지역 결혼·출산 지원 30개의 정책아이디어는 박진도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농어촌TF 위원장에게 전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