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40세 미만 청년이 경영하는 농장은 9000여곳에 불과하다. 전국에 청년농업인이 9000여명 밖에 없다는 얘기다. 하지만 실제로 농업을 경영하는 등 영농활동을 하고 있는 인구는 9000명의 절반 수준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게 현장의 많은 청년농업인들의 공통된 견해다.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를 이끌 청년농업인 육성이 중요한 이유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 유관기관 등에서 앞 다퉈 청년농업인 육성을 위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 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도 청년농업인과 관련한 공약도 제법 눈에 띄었다.

이런 가운데 소외되는 이들이 있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 바로 농촌에서 농사를 짓지 않거나 농장주가 아닌 청년들이다. 현재 대부분의 정책과 지원은 창농이라는 이름 아래 청년농업인,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년 농장경영주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우리 농업의 문제 가운데 농업만을 놓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사실 많지 않다. 최근 많은 농업계 전문가들이 농업의 문제를 농업이 아닌 농촌의 문제로 시각을 전환해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에 농업의 미래가 청년농업인에 달린 것은 맞지만 농촌청년으로 시야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농촌에 살고 있는 청년들이 농촌을 떠나지 않도록 하는데 있어 농사를 짓는지의 여부가 그렇게 중요한 문제일까. 농사를 짓지 않아도 농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충분히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해온 청년이 반드시 농사를 지을 필요까지는 없지 않을까. 농촌의 인구가 늘어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하면서 정작 시야는 농촌이 아닌 농업에만 고정돼 있는 것은 어찌 보면 편협한 이율배반으로 다가온다.

청년농업인들의 가장 큰 고민인 주거나 결혼, 또래집단 등의 문제가 과연 농업이라는 틀로만 해결될 수 있을까 되짚어볼 때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